생명 !!! 일강정의 꿈

그리움에 대한 나의 변명

相民 윤봉택 2007. 4. 3. 10:34

2007. 4. 3.

 

 그리움에 대한 나의 변명


 삶이 삶 답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은 그리움이 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나의 졸고에서 그리움이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그러고 보면 그리움도 삶의 시간에 따라 그 대상이 변하는 것 같으나,

지나고 보면 그 모두가 둘이 아닌 하나임을 느낍니다.

 

 10대에는 그리움이 무엇인지도 모르면서 파랑새에 기대이고,

 20대에는 누구인지도 모를 나의 짝꿍에 대한 서성거림으로,

 30대는 미래의 삶에 대한 기다림으로,

 40대에는 문득 자라 있는 자식을 보면서 그 나날을 기다리며, 

          또한 더러는 유년 시절의 첫사랑에 대한 안녕을 기원하면서,

 50대에는 홀연히 나타난 손자의 재롱 속에 비춰지는, 먼저 가신 할머님·할아버님,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인 듯 한데,

 

 이제 50대  초입에서

 60대에는 그 무엇으로 다가올지 궁금합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 돌이켜보면, 그리움은 정情 때문인 것 같습니다.

 정情은 마음忄·心을 나타내고, 청靑은 언제나 변함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그리움은 언제나 변함이 없는 정情의 아름다움의 결정체라고 봅니다.

 그렇다하여도 그 기다림에 너무 얽매여서는 아니 된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얽매임은 또 다른 얽매임을 잉태하기 때문입니다.


 기다림에는 많은 인내와 헤아림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나도 종교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종교에 대하여 얽매인 적은 없습니다.

그 종교를 수행하는 성직자님들에게는 그 교주가 절대적이어야 하겠으나,

나는 종교에 기대이는 편입니다.

 

 나의 삶이 고단하거나 잠시 휴식이 필요할 때,

그 고단함을 달래주고 필요한 휴식을 할 수 있는 곳이 종교라고 봅니다.


 이러한 기다림에 나타나는 그리움에 대하여 저가 좋아하는 구절이 있습니다.

 “반드시 머무르는 대상이 없이 그 마음을 나타내어야 한다.(應無所住 而生其心)”입니다.

 

 이 구절은 금강경 장엄정토(분)에 나와 있습니다. 석가모니께서 수보리에게 장엄정토를

설명하시면서 “응당히 머무르는바 없이 그 마음을 내야한다.”고 말씀을 하셨는데,

금강경을 해석한 야부스님은 이 구절에 와서,


    “토굴에 홀로 앉아 말이 없으니,

     적적하고 고요함이 본래 그대로인걸,

    무슨 까닭으로 서풍이 불어와 숲을 움직이게 하여,

    차가운 겨울 구만리 밤하늘을 기러기 울며 날게 하시는가.

 

” 山堂靜夜坐無言 寂寂寥寥本自然 何事西風動林野 一聲寒鴈唳長天.

저의 생각으로는 여기서 말하는 서풍은 달마대사가 인도에서 와 중국에 불교를 전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가 봅니다.


 사실 낸중에 알고 보면, 기다림도, 그리움도 그 실체가 없는 것일지도 모를 일 일 것입니다만,

하릴없이 그림자 따라 마음만 분주한 어리석음이 아닌가 합니다.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자세히보기


 

19702

 

 

 

'생명 !!! 일강정의 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 울림 - 둘  (0) 2007.06.22
하늘 울림  (0) 2007.06.22
바람은 불어도 바람일 뿐  (0) 2007.06.16
우리 착한 아시가 켜는 촛불  (0) 2007.05.23
사노라면  (0) 2007.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