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바람, 섬 풍경

제주올레 19코스

相民 윤봉택 2023. 1. 8. 10:05

제주올레19코스

 

2022년 1월 6일 부터 제주의소리와 서귀포신문에

격로 제주올레 27코스 29개 노선에 대하여 연재를 합니다.

 

그 연재 중 스물  일곱 번째로 19코스 내용을 이곳에 링크합니다. 

 

제주의소리  질곡을 넘어 해원 상생의 제주올레 19코스 < 윤봉택의 탐나는 올레 < 매거진 < 기사본문 - 제주의소리 (jejusori.net)

 

질곡을 넘어 해원 상생의 제주올레 19코스 - 제주의소리

길을 걷는다는 것은 한권의 인문학 서적을 읽는 재미와 닮았다. 역시 걷기를 좋아하는 것은 그 속도가 느리기 때문일 것이다. 삶의 속도가 너무 빠르니 삶의 속도를 늦추는 걷기야 말로 우리를

www.jejusori.net

서귀포신문  질곡을 넘어 해원 상생의 제주올레 19코스 < 기획·특집 < 기사본문 - 서귀포신문 (seogwipo.co.kr)

 

질곡을 넘어 해원 상생의 제주올레 19코스 - 서귀포신문

조천 만세동산에서 북촌 ‘너븐숭이’를 지나 김녕리는 질곡의 올레이다.거친 환경을 마다치 않고 옹기종기 평화롭게 모여 바당 밭을 헤치며 험한 돌밭을 일궈온 강인한 주민들의 한마당에, 무

www.seogwipo.co.kr

========================

서귀포신문 기사 137210.pdf (seogwipo.co.kr)

 

오늘

2021. 7. 1(목요일)19코스를 걸었습니다.

오전 810분에 19코스 출발점

조천 만세동산 간세에 도착하여 출발했습니다.

 

19코스 출발점인 조천 만세동산에서

19코스 종점 김녕서포구 까지는

19.4km로써, 49리가 넘는다.

 

조천읍 조천리, 신흥리, 함덕리, 북촌리

구좌읍 동복리, 김녕리. 

 

조천은 명월과 더불어 지난날 제주로 들어오는

1관문이었다.

 

계절풍 방향에 따라

명월(한림)포나 조천포로 입출항을 하였고

이러한 문물 거래로 인하여 두 지역간의 문화도

차이가 있다.

 

올레를 순례하면 살피는 문화 흔적 자료는 

서귀포시 지명유래집(1999), 남제주군 고유지명(1996), 북제주군지명 총람(2006)을 근간으로,

그리고 관련 지역 향토지와 읍면지, 마을 소개 자료를 인용하여 살피며

마을 주민 원로를 만나 의견을 구하고 있습니다.

 

오늘 걸으며 느낄 문화유산입니다.

 

1. 조천만세동산

2. 독립유공자비

3. 신흥리 마농개 / 엉장메

4. 왜포연대

5. 관곶

 

6. 고남 환해장성

7. 고남 불턱

8. 신흥리 방사탑

9. 신흥포구/왜개

10. 큰개

 

11. 할망당

12. 신흥물, 큰물, 이문집

13. 함덕 앞개물,

14. 함덕포구/앞개, 성창

15. 큰도물, 팔선진 / 함덕해수욕장

 

16. 올렛여

17. 왜막

18. 샛사시미

19. 서우봉

20. 서우봉수

 

21. 일제동굴진지

22. 몬주기알

23. 북촌 해동포구

24. 너븐숭이 4.3유적

25. 검섯개

 

26. 북촌 환해장성

27. 가릿당

28. 다려도

29. 북촌 도댓불

30. 사원이물

 

31. 북촌포구/뒷개

32. 용물코지

33. 조지물콪

34. 북촌동굴

35. 동복운동장 정자 인증샷

 

36. 벌러진동산

37. 잣도

38. 김녕 궤살미 / 묘산봉

39. 한거리

40. 성덕모루

 

41. 남흘동 본향 노모릿당

42. 김녕포구

43. 한개골

44. 서울 뱃자리

45. 종선자리(김녕항1길 25-1) 

46. 한개빌레(구좌읍 김녕항1길 30)

    제19코스 종점

    제20코스 출발점

 

제주올레 19코스 간세 앞에 황근 무궁화가 소담스럽게 피었습니다.

오전 8시 10분에 도착하니

올레지기님이 저가 오늘 첫 순례자라고 하시네요

도로에는 황근이 피고 지고 또 피고 또 지고

조천만세동산을 중심으로 1919년 3.1운동 당시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던 장소를 성역화 하였습니다.

독립유공자비

경내에 다섯기를 정비하여 놓았습니다.

무엇이게요

'부루'입니다. 상치

참깨

그러나 조생종입니다.

엉장메 / 마농개

조천리와 신흥리 경계선 해안가 언덕, 정자가 세워진 곳입니다.

'엉장'은 낭떨어지, '메'는 언덕의 제주어.

 

마농개 (신흥리 795~822번지) 해안선

'마농'마늘의 제주어, 주변에 달래가 많이 불려진 지명

왜포연대/고포연대

마농개 (신흥리 795~822번지)해안선이 바라보이는 신흥리 784번지 내에 있다.

관곶

조천관의 관문이라는 의미, 조천읍 신흥리에 있다.

고남 환해장성

조천읍 신흥리 822번지선, 일부 허물어지긴 했어도, 거의 원형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고남 불턱

조천읍 신흥리 822번지 해안

관곶

조천관 관문으로, 해남땅끝마을과는 83km이다. / 물살이 매우 거칠다

해안경비 분초 방어선

1970년대 조성된 해안 방어진지이다. 방위병(보충역)이 경찰과 합동 근무하였다.

신흥리 환해장성

신흥리 766번지 일대

불턱 해안가

신흥리 731번지 해안가

신흥리 환해장성

신흥리 727번지 일대

좀녜 불턱

신흥리 731번지 해안가

불턱 내부

좌우 원형은 불을 지펴 좀녜들이 몸을 말리는 곳이며, 북쪽에는 '해신제단'이라는 신판을 세워 놓은 것으로 보아

이곳에서 좀네들이 용왕제를 지내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다.

해신제단 신판

신흥리방사탑 2호 / 오다리탑 / 생이탑 / 양탑陽塔

조천읍 신흥리 731-5번지 해안선에 있다.

신흥리방사탑 2호 / 오다리탑 / 생이탑 / 양탑陽塔

'오다리코지'에 있어서 '오다리탑'이라고도 한다.

좀녜 조형

오다리탑 옆에 있다.

멀리 보이는 게 '서우봉'이다.

비베기동산(신흥리 712) 양식장 주변, '비베기'는 순비기 나무이다.

 북모살 해안(신흥리 711~730 해안선)

순비기꽃

북모살 해안(신흥리 711~730 해안선)

신흥리포구/큰개

포구 앞에 있는 방사탑으로 새롭게 조성한 것이다.

볼레낭 할망당

신흥리 본향당으로 남성의 출입이 금지된 당이다. '볼레낭'은 보리장나무의 제주어이다.

할망당 전경

신흥리 538번지 앞에 있다.

신흥리 방사탑 1호/음탑陰塔/큰개탑

 

큰개/신흥포구 앞 '큰섬여'에 세워 있다.

신흥포구 / 큰개 / 옛개 / 왯개 / 엉알개 / 고포(古浦)

신흥물/서나물/소나물

신흥리에는 다섯 개의 샘물이 있는 데 그 중 하나이다. 신흥리 113-14번지 선에 있는데, 밀물과 설물에 따라 

물이 잠긴다. 

신흥물/서나물/소나물

남성 전용 샘물이다. '서나', '소나'는 남자의 제주어

큰물

여성들이 주로 사용하는 큰샘이다.

90세(1932년 임신생) 강씨 할머님

신흥리에서 나고 자라 시집도 이곳이라 하셨다. 참 정정하신 어르신이시다.

천수를 기원드린다.

이문집

이문을 겸하여 막살이로 사용되었던 정겨움이 큰 집이다. 신흥리 신흥로2길 2-9

신흥리 밧담

함덕리 가는 길가, 양파 수확이 끝나고 이제 가을 파종을 기다리고 있는 돌담과 밭담이 고즈녁하다. 

신흥리 149번지

함덕리 1구 앞개 어촌 가옥

함덕리 1구 포구 뒤 조함해안로 428-18에 있다.

집 구조로 봐서는 넉넉하게 살았던 집이다.

앞개물/앞갯물

함덕리1구에 있는 포구를 앞개/모살물개/사시포沙時浦

'앞개'에서 솟아나 부르는 샘

앞개물 내부

 앞개/모살물개/사시포沙時浦

함덕리1구(섯모살동네)에 있는 포구를 말한다. 신흥리와 함덕리에 있다.

성창

섯모살동네의 앞개/모살물개/사시포沙時浦

섯모살동네에는 포구가 세개(평사동 앞 큰사시미, 올렛여 동쪽 샛사시미, 한모살동네<서오름 입구> 족은사시미)이다..

함덕리에서 서우봉

큰도물 / 한모살/큰사시미 해안/강녕개(함덕포구 옛 이름 지금은 매립되었다.)

고냉이성창(파출소 위치)  큰도물 동쪽 계단 앞 주변으로 매립되었다.

남성 전용 목용탕으로 사용되었다. 함덕해수욕장 (조함해안로 474) 앞에 있다.

지난 날 동쪽 해안을 끼고 강녕개(함덕포구)가 있었던 곳이다 . 

큰도물 내부

 

함씨 할망 함다리. 돌다리. 석교.

함덕리에는 함씨 할머니가 만드셨다는 '함다리' 이야기가 전해온다. 흉년들어 어렵던 시절, 함씨 할망은 물이 들어도 건널 수 있도록 함덕포구에  '돌다리'를 만들었는데, 지역 주민들에게 노역비에 상응하는 음식을 제공하였고, 주민들은 그 댓가로 돌을 운반하여 다리를 만들었다는 이야기이다.  유사이래 제주도내 최초 민간 공공투자 다리였다. 

  이 이야기는 <동국여지승람>에도 '돌다리'로 기록될 만큼 대단한 규모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38권 전라도 제주목 <교량>; 석교(石橋)는 함덕포(咸德浦)에 있는데 길이가 110보나 된다. 다리 북쪽에는 해안이 벽처럼 솟아 높고 급하다. 石橋在咸德浦長一百一十步橋北海岸壁立高峻

 

팔선진八扇陣 기념비

덕판배를 모형으로 조성된 팔선진 기념비, 함덕 해수욕장에 있다.

팔선진

1902년 이 고장 남강 한석봉님이 멸치잡이 방법을 고안하여 협동 작업하도록 한 멸치잡이 방식이다.

팔선진八扇陣(큰. 깍선지.사선진.뒷개.새선진.쌈판. 마늘여.새뱃그물)

멸치잡이 하면서 부르는 소리가 "멸치 후리는 소리"로써, 이웃에 있는 김녕마을에서 불려졌다.

멸치잡이는 멸치를 찾는  '당선', 멸치를 거려 올리는 '망선'으로 구분되며, 배와 배 사이에 그물을 내려  그물 안에 있는 멸치를 거려 올리기 위해 협동으로 그물을 잡아 후리면서 멸치를 잡을 대 부르는 소리가 '멸치 후리는 소리'이다. 

 

어야 디야/어야 디야

어그여 디여 상사년/어야 디야

당선에서 멜을 보고/어야 디야

망선에서 후림을 논당/어야 디야

서개코랑 서여가트로 /어야 디야

동개코랑 은금은 여롱/어야 디야

닻배에서 진을 재왕/어야 디야

어기여 디여 방애여/어야 디야

사서안골 추자안골 괴기/어야 디야

는갱이 와당에 다 몰렸구나/어야 디야

 

올렛여/샛사시미

올렛여; 섬 처럼 보이는 게 올렛여이다.

올렛여

올렛여/샛사시미 해안

올렛여/샛사시미

함덕해수욕장 밖으로 돌출된 암반을 가르킨다.

 

서우제당 

풍어를 비념하는 당이다.

서우제당 

족은사시미 해안, 서쪽이 '샛사시미'이다

족은사시미/모살동산/서우봉 가마터/웰막/와막

함덕리 4구에 속한 지역으로 서우봉 입구에 있으며, '족은사시미' 또는 한모살'이라고도 한다.

일본인들이 이곳에 막을 치고 기와를 구웠다고 하여 부르는 지명

 

족은사시미

함덕해수욕장 동쪽 서우봉 입구에 있다. 주로 셔핑을 즐기는 분들이 찾는다.

족은사시미

사람들은 백사장 물빛을 보며 즐겁다고 하지만,

사실 모래는 육지나 바다에서는 황무지와 같아, 어부나 좀녜들에게는 별로이다.

서우봉/서모오름/서산/서메

일본군 진지 20개소나 된다.

올렛여, 개남여

백사장에서 바다 방향으로 나온 바위를 '올렛여'라 하고,

밖으로 따로 떨어진 바위를 '개남여'라고 하는데, '개남'은 '가늠'의 제주어이다.  

서우봉수 추정지

서우봉수 추정지

다려도多麗島/도려도/달려도

서우봉에서 바라본 북촌해안 앞바다에 있는 무인도(조천읍 북촌리 산89) 

서우봉 일제동굴진지

갱도 18개소, 벙커 2개소 등 모두 20개 동굴이 만들어 있다.

몬주기알 / 남서모

서우봉 동쪽 능선(남서모)이다. 1948. 12. 26일 경 마을 여성(4~5명) 이곳에서 히생되었다.

해동포구 / 해뎅이골포구

조천읍 북촌리 해동(海洞)마을에 있다.

요즘에는 포구 방파제를 서로 연결하는 홍예교(아치교)를 많이 설치하고 있다.

 

해뎅이마을 / 해동마을에서 서오름 능선

너븐숭이 4.3 기념관

애기무덤

4.3에 희생(북촌 대학살)된 것으로 추정되는 애기무덤이 기념관 경내에 있다.

너븐숭이

1948. 12. 19~ 4.3으로 인하여 북촌리 마을 주민 436여명이 대학살을 당하였다.

검섯개/검서포(檢西浦)

북촌리 동카름 해안가에 있는 작은 포구(북촌리 1193-3번지 해안선) 이다.

포구 서쪽 코지가 '닷거리'이며, 포구 오른쪽 여 동뽁이 '개코지'이다.

 

검섯개/검서포(檢西浦)

안창에는 '우활물' 샘이 있다.

북촌리 동카름 환해장성 / 말개(맹개통)

조천읍 북촌리 1329번지 해안. 해안가에 어로시설인 '말개/맹개통'이라 부르는 물 웅덩이가 있다.

북촌 어촌 가옥 / 말개

어촌 가옥 형태가 잘 보존되면서 현대식으로 지붕 마감을 하였다. 가릿당 가는 길가)

집 주인께서는 지역 문화를 이해하시는 분인 것 같이 마음이 편안했다.(북촌리 북촌7길 25-15)

가릿당/구짓머루당 가는 올레

     조천읍 북촌리 1365 

다려도/다래여/래여

마을에서 400m 멀어진 곳에 바위섬 4~5개로 이뤄진 섬이다.

가릿당 가늘 올레에서 바라본 섬

왼쪽이 '구짓모루코지'이다.

북촌리 본향 가릿당/구짓모루당

신위는 '구짓모루 용녀부인'

가릿당

사고석을 잘 다듬어 정자각 형태로 잘 단장하였다.

도댓불 / 구지모루동산

조천포구 왼쪽 '안벡구들' 언덕에 세워져 있다. (북촌리 1365-5)

북촌 등명대燈明臺/도댓불

1915년(대정 4) 12월에 건립되었다는 빗돌이 등명대 계단 상부에 세워져 있다. 빗돌에 석회 성분이 많아 풍화에 많이 녹아 내렸고, 중간 글자 한자가 파손되어 알 수가 없으나, 문맥 상 기념의 념念자가 아니가 한다.

왜정시대니까. 일본 천황(다이쇼)가 1915년 즉위식을 한 기념으로 등명대를 건립하였는지의 여부는 알 수가 없지만, 비문 내용은 일본 천황 즉위 기념 등명대를 1915. 12월에 건립한다 

비문에는 御卽位記■(念)燈明臺

                 大正四年十二月建  

 

북촌포구/뒷개/북포(北浦)/북질포(北叱浦)/큰성창

 

사원이물

북촌포구에 있다.

도아치물

북촌포구에 있다.

뒷물 성창

북촌포구

북촌포구/뒷개

퍽갯골(흥례동) / 북촌 올렛담

  조천읍 북촌리 북촌11길 20-14

용물코지 - 삭수구밋개 - 조지물콪

용물코지(방파제 옆),  

조지물콪

북촌 포구 우측 멀리 보이는 섬이 '다려도'이다(북촌15길 58)

북촌동굴

땅을 정비하가다 굴 상부가 무너지면서 발견된 굴이다.

올레 옆뎅이에 있다. 조천읍 북촌리 294

모람 열매

어렸을 때는 가난하여 간식거리가 없었다. 

산으로 드릇팟디로 돌아 다니면서 볼레, 모람, 멩게낭/눈벨레기 참 많이도 따서 먹었다.  

 

↑새장밧, 새가 많이 자라기에 불려진 지명으로 동복리 1705-56번지로 주택지역 일대이다.

골막(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19.4km 중 13km 지점이다.

여기서 부터는 구좌읍 동복리 조천우회로 982-72 

골막/동복리 운동장 중간 인증샷

구좌읍 동복리 산 56-14

어떻게 개똥을

귀리 날레

'날레'는 햇볕 좋은 날 멍석에다가 곡식을 널어 건조시키는 행위를 의미하는 제주어이다.

귀리 농사를 잘 지어서 날레를 널었다.

'당그네'를 가지고 60분에 한번씩 뒤집어 줘야 빨리 건조된다.

인증샷 정자

도착하니

13시 44분이다.

임도

2006년도에 개설되었다.

벌러진동산

어느 날 벼락이 떨어져 돌이 깨어지면서 붙여진 지명

 

벌러진동산 잣담

벌러진동산 빌레왓

바닥이 대부분 빌레로 이뤄져 있다.

벌러진동산 임도

때로는 이렇듯 

동복 북촌 풍력발전단지

모두 15기가 운전 중이다. 날개가 42m

잣도

김녕리 구역 올레

사오기낭

암노루

임신한 것 같다

↑논밧도/논밧두덕 

↑논밧도/논밧두덕 

↑논밧도/논밧두덕 

↑도술밧 

↑도술밧 

방묘에 산담을 한 묘역

궤살미 / 묘산봉

돌아보니 아늑하게 느껴지는 풍력발전기

궤살미/묘산봉 주변 밧담

김녕리 3030

김녕 밧담

                김녕리 3030

한거리 김녕리 2537번지 일원

 

돗술 김녕리 3050번지 주변

부무술

서김녕리 남흘동 김녕로2길 20-1

남흘동 성덕모루 폭낭

 김녕리 3481

남흘동 이문집

김녕로 2길 11

서김녕리 남흘동 본향 노모리동산 노모릿당/일뤳당

신위 강남 천자국 용녀부인

김녕리 3419

남흘동 본향 일뤳당 

김녕리 3419

서김녕리 남흘동

김녕포구/한개/대포

 

여름 배추

김녕리 3989

부튼한개 / 한개골

부튼한개 김녕리 3968~9)주변 해안가

마을에 농산물을 본선에 싣기 위하여 종선들이 오고 갔던 '골'이다. 김녕리 3992 해안

서울 뱃자리

육지에서 온 배들이 정박하였던 곳(김녕리 3992)

 

↗ 종선자리    건널목 우측이 "큰한수"이다. '큰 못'이라는 의미이다.

 주변마을을 '한수동'이라고 한다.

목공소 북쪽 (김녕항1길 25-1)

한수동 한개 빌레 / 해녀마을쉼터

제주올레 20코스 출발점 ( 김녕리 4070)

제주올레 19코스 종점

구좌읍 김녕항1길 30

오후 15시 32분 도착

  출발; 오전 8시 10분

  중간 인증샷; 13시 44분

  도착; 15시 32분 

'섬 바람, 섬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올레 21코스  (0) 2023.02.10
제주올레 20코스  (2) 2023.01.23
제주올레 18-2코스  (2) 2022.12.25
소상공인주간박람회  (0) 2022.12.10
제주올레18-1코스  (1) 2022.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