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섬의 문화재 80

삼소굴수목시경등

삼소굴수목시경등명칭; 삼소굴 수목시경등 (三笑窟 水木沶囧燈)분 류; 유산/건조물/명상/불교/석등수량/면적; 1기규격; 높이 220cm재료; 현무암(대정읍 동일2리 경지작업 채석, 2017년도)소재지; 쌍계암(서귀포시 하원동)조성; 정지윤(1974년 甲寅生, 문화재 수리 기능공/석공·드잡이공)시기; 2024년 5월 2일(08시~15시 15분)  삼소굴 수목시경등(三笑窟 水木沶囧燈)은 2024년 5월 2일 오전 8시부터 시작하여 오후 3시 15분에 완성된 석등이다. 재질은 제주 현무암으로서, 2017년 대정읍 동일2리 경지 정리를 작업한 서귀포시 대포동 고종수 거사가 쌍계암 상민 시자에게 2018년 9월 27일 건축에 사용토록 보시하면서 운반되었고, 대부분은 2018년 11월 명상원 기초작업에 사용되었다. ..

쌍계암 수목시경등

2024. 4. 30.쌍계암수목시경등명칭; 쌍계암 수목시경등 (雙溪菴 水木沶囧燈)분 류; 유산/건조물/명상/불교/석등수량/면적; 1기규격; 높이 150cm재료; 현무암(대정읍 동일2리 경지작업 채석, 2017년도)소재지; 쌍계암(서귀포시 하원동)조성; 정지윤(1974년 甲寅生, 문화재 수리 기능공/석공·드잡이공)시기; 2024년 4월 30일(09:52분~14시 47분)  쌍계암 수목시경등(雙溪菴 水木沶囧燈)은 2024년 4월 30일 오전 9시 52분부터 시작하여 오후 2시 47분에 완성된 석등이다. 재질은 제주 현무암으로서, 2017년 대정읍 동일2리 경지 정리를 작업한 서귀포시 대포동 고종수 거사가, 쌍계암 상민 시자에게 2018년 9월 27일 건축에 사용토록 보시하면서 운반되었고, 대부분은 2018년..

천연기념물 제18호 삼도파초일엽자생지

삼도는 제주도 서귀포시 보목동 산1번지입니다. 숲이 많이 우거져 있어 '삼도', '섶섬'라 부르나, 이곳 지역주민들은 '설피섬(숲이 우거진 섬)'이라 합니다.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 제18호 삼도파초일엽자생지로 되어 있습니다. 사진은 섶섬과 자생지 내에 있는 파초일엽입니다. 섶섬에 파초일엽이 자생하고 있다는 것이 학계에 처음 보고된 것은 1922년 일본 학자 Mori에 의해서이며, 국내학자로는 1949년 박만규가 식물명감에 기록하면서부터 입니다. 그러나 천연기념물로 지정(1962. 12. 3)되면서 많이 도채되었던 자생지에 대해 2001년도부터 복원사업이 이뤄지고 있으며, 1997~1998년까지 문화재청에서는 삼도파초일엽에 대한 자생종판별학술조사가 이뤄졌습니다. 파초일엽이 처음 문화재로 지정되기는 한일합방..

천연기념물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 군락지

천연기념물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 군락지』는 서귀포시와 남제주군 해역 내에 지정(2004. 12. 13)되어 있습니다. 서귀포 해역 : 서귀포시 대포동 대포코지 2499-1번지로부터 남제주군 남원읍 위미리 789번지의 지선에 접한 공유수면 송악산 해역 : 남제주군 대정읍 상모리 1661번지로부터 안덕면 창천리 781-1번지의 지선에 접한 공유수면 지정 면적 : 92,640,149㎡(공유수면) 서귀포 해역 : 70,410,688㎡(세부내역 붙임) 송악산 해역 : 22,229,461㎡(세부내역 붙임) 제주연안 해역에는 한국산 산호충류 132종 중 92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 중 66종은 제주 해역에만 서식하는 특산종으로 수심10~30m의 암반에 군락을 이루고 있음. 특히, 송악산 및 서귀포 해역은 세..

천연기념물 제195호 서귀포층의 패류화석

제주도 서귀포시 서홍동 707번지 주변에 있는, '서귀포층의 패류화석'은 1968. 5. 23일 천연기념물 제19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초기(약 100만년 전)의 해양퇴적층(海洋堆積層)으로서 서귀포시 서홍동 해안 절벽을 따라 두께 36 m, 길이 약 1 ㎞에 걸쳐 노출되어 있습니다. 서귀포층(西歸浦層)은 1923년 요코야마에 의해 최초로 학계에 소개되었으며 1930년 하라구치에 의해 명명되었습니다. 이 곳에는 연체동물화석을 비롯하여 완족류, 유공충, 개형충, 성게, 해면, 산호, 상어이빨, 고래뼈 등의 다양한 해양동물화석이 산출됩니다. 서귀포층의 화석과 지층으로 부터 고환경(古環境)을 분석한 결과 이 층은 얕은 바다에서 따뜻한 해류가 지배적인 환경하에서 퇴적된 것으..

천연기념물 제258호 무태장어

2001년 7월 8일 제주도무태장어서식지로 지정된 천제연에서 채집된 무태장어입니다. 전체 길이 104㎝, 몸통 24㎝, 머리길이 15㎝,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사이 18㎝, 무게 4.17㎏입니다. 무태장어는 대형어종으로 2m까지 자라며 무게는 25㎏까지도 나가는 것도 있습니다. 주로 야간에 특히 장마철에 활동하며 황녹 바탕에 흑갈색 불규칙 반점이 있습니다. 濟州語로는 ‘붕애’라고도 하며, 1960년대 까지만 하여도 주간에 논에서 잡힐 만큼 많이 서식하였습니다. 열대성 어종으로 한반도는 무태장어 서식의 북한지이며, 무태장어 또한 천연기념물 제258호(1978. 8. 18)로 지정보호 되고 있고, 도내 주로 하천에 서식합니다. 또한 서귀포시 천지연에는 무태장어 이외에도 민물장어가 육안으로 확인될 만큼 많이..

산학계몽

2018. 06. 01. 산학계몽 숫자는 큰수와 작은 수가 있다고 합니다만 그 큰수와 작은 수의 끝이 어디에서 끝이나는지는 현대 과학으로는 헤아릴 수가 없나 봅니다. 우리 선조들은 오래 전부터 이러한 숫자에 대하여 논하여 왔는데 외국의 예를 들자면 우선 석가모니 부터님께서 화엄경에 숫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신 부분이 있습니다. 이 자료를 인용하여 중국에서는 원나라 때 이라는 내용으로 정리를 한게 있으며, 이를 조선국에서도 수용하여 과거 시험 때는 시험과목으로 채택하여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숫자 가운데 큰 수와 작은 수에 대하여 일부를 발췌하여 소개합니다. 특히 불자들인 경우에는 경에 항하사, 아승기, 무량수, 찰나 등에 대한 숫자가 등장하는데 정확한 숫자를 모를 때가 많아 참고로 정리하여 안내합니다..

제주 돌담

34회 다큐 공감 -바람과 돌이 전하는 이야기 2013년 12월 3일 화요일 KBS -TV에서 방영되었던 제주돌담에 관한 내용입니다. 지금은 제주돌담에 대하여 자타가 전문가라고 하고 있지만 이때 까지만 제주돌담에 대한 연구는 저 말고는 사실상 없었습니다. 그래서 섭외가 되었었구요 다큐 공감에서 전편은 청산도 구들장논 18분 00초 부터 후편은 제주돌담 입니다. ↓ 아래를 클릭하시면 화면이 뜸니당 [34회] 다큐 공감 - KBS

사람 발자국 화석

2007. 11. 1 사람발자국 화석입니다. 여기 사진들은 2004년 4월 11일 문화재청(천연기념물)에서 문화재위원과 관련 학자들을 모시고 남제주해안 사람발자국 화석 산출지의 현장 시료 채취 및 발자국화석 확인하는 과정을 담은 것으로 그 현장을 함께하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인류가 침팬지와 공동조상이라 하지만, 침팬지와 다르게 된 것은 800만 전이라 한답니다. 지금까지 가장 오래된 인류와 관련된 화석은 아프리카 차드공화국 두라브사막에서 발견된 600-700만년 전의 투마이화석이라 한다지요 그러나 사람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예는 지구상에 그리 많지가 않습니다. 1977년 필립과 피터존스에 의하여 발견된 탄자니아 라이톨리의 호미니드의 사람발자국으로 54개나 되는 두개의 보행렬을 유지한 360만년 전의 화..

사람발자국 화석

2007. 12. 8. 사람발자국화석산출지입니다. 지난 12월 7일 부터 9일까지, 제주 서귀포 풍림콘도에서 2007, 사람발자국화석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국제심포지움이 있었습니다. 발자국화석과 관련하여서는 세계적인 권위자들이 모인 것입니다. - 마틴 로클리 : 아메리카의 사람발자국 화석산지의 자료와 보존 - 제프 멜드럼 : 사람발자국 화석의 3차원적 영상화와 보관 - 찰스 무시바 : 라이톨리 사람발자국 화석의 보존에 대한 노력 - 요시아키 오카무라 : 일본 발자국화석에 대한 현행 보존과 활용 - 마사키 마츠카와 : 일본 사람발자국화석의 보존, 훼손 및 해석 - 국내 학자 : 김정률, 이창진, 김정빈, 임종덕 외 그 분들과 함께 하며 현장을 담아 보았습니다. 사람발자국 화석산출지 현장 답사 안덕 도서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