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서재 http:··seogwipo.kll.co.kr

윤봉택 문학

相民 윤봉택 2015. 4. 23. 07:24

 

윤봉택 문학서재로 가는 길.

 

윤봉택 문학서재입니다.

 

      http://seogwipo.kll.co.kr/

 

 

 

실 명 : 윤봉택

한 자 : 尹奉澤

생년월일 : 1956-12-01

출 생 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강정동 4362-1

등단작품 :『제주바람』(한라일보 신춘문예,1991-1).

               월간 문예사조(1991. 4) 바람부는 섬외 4편 신인상 수상 

학위논문 :『제주지방의 조선시대 출판문화에 관한 연구』(전남대학교 대학원,2008-8)

               지도교수 : 김대현(전남대 국어국문학)

               공동지도교수 : 송일기(중앙대 문헌정보학)

 

 

 

              제주 바람

 

(하나)

 

눈 내리는 날에도

                아내는

                빗나간 손금 하나에 기대어

                자맥질한다. 

               그 숨비질의 비명


               (둘)

 

               누가 선득 하얀 어깨를 내민다

               돌담 햇살이 모인 자리

               댕유자꽃 저 혼자 피어

               그 섬에 기대고 있다.

 

(셋)

            

               바람은 불어도 바람일 뿐

               섬이 되질 못하는 바람

               아내가 떠난 톳바다가

               수평선에 옷을

               널어

               바람을 날리고 있다

 

(넷)

 

               섬이 보이지 않는다

               조랑말 울음만 남은 바다

               제주 해협을 건너온

               한랭전선이

               나뭇가지처럼 딱딱한

               뼈로 걸려 있다

               수확을 해도

               가난한 30촉의 燈

               제주 바람은 잠들지 못하는

               끊어진 섬 등불들만 골라서

               바다에 띄우고 있다

 

(‘91.한라일보 신춘한라문예 당선작)

 

 

 


바람 부는 날

 

 

제주의 2월은 밤에도 잠들지 않는다

 

밤새 흩날리는 눈발에 기대어

 

그리움 하나로 먼 바다로 불 밝힌 동백,

 

섬은 늦바람으로 불어와

 

바다의 그림자를 지운다

 

 

 

제주의 2월은 바람이 없어도 좋다

 

밤새 기다리는 눈발을 삭이며

 

마당으로 열리는 포구의 동백,

 

섬은 노를 안 저어도

 

자꾸만 그리운 곳을 향해 떠나고 있다


(음악동아,‘91.2)

           우리 손자에게

                 - 성찬이가 태어나던 날


 

        이천 육년 시월 보름날

        드릇팟디 어머님은 검질을 매셨고

        개껴시 아버님은 닻을 올렸고

        어진 내 아내는 삶의 테왁을 바당에 띄웠다.


        일순, 

        멈춰 선 정낭의 경계에서

        백록담의 소리로

        올래 문을 두드린

        선재동자와 삼신할머님

        17대의 질긴 탯줄을 놓으시더니,

 

        세상 가장 따뜻한 소리로

        삼세의 인연을 노래하는

        아가의 눈빛

 

        억겁의

        옷깃을 여미며

        섬 나들이 온

        너를 기억한다.


            * 우리 손자 성찬이가 태어나던 날(음).

                * 드릇팟디 : 농사 짓는 밭의 제주어.

            * 검질 : 잡초의 제주어.

                * 개껴시 : 바닷가의 제주어.

                * 올래 : 골목의 제주어.

 

                                  ( 서귀포문학 제17집, 2006)

  

 

 

 

그리움이 없는 곳에서

 

배를 타고 스르시 떠나면


갓밝이에는


그 섬에 닿을 수 있으리


그리움은 뱃길 끊겨도


자꾸만 흘러가는데,


느꺼운 불빛 타고 밀려오는


머언 섬의 아픈 너울들


그대 그 곳에 있어


그리움이 남아 있는


가난한 포구에 기대어


기다리는 난파된 영혼의 그림자


돌아누워도 감기지 않은


그리움 가득 안고


하늬바람 불면


어느 곳을 향해


그대 돛을 올리리


(서귀포시의회 「의회보」 제6호,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