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연스님 차 이야기

조선 찻 사발(서울신문)

相民 윤봉택 2006. 5. 13. 22:32

 [여연스님의 재미있는 茶이야기](14)조선찻사발



[여연스님의 재미있는 茶이야기](14)조선찻사발

<서울신문 2005/10/24/월/기획19면>

 

“눈 뜨고 바라보니/꽃은 보이지 않고/물오른 이파리도 없구나/바닷가 모래밭에 자리잡은/고즈넉한 초가 한 채/가을 밤 몽롱한/불빛 아래 있구나” 모든 것이 일탈해버린 가을바다는 고즈넉하다 못해 추사의 세한도처럼 담백하기도 하며 쓸쓸하기까지 하다. 달도 별도 잠든 가을밤 바닷가 한 귀퉁이를 틀어쥐고 사는 열평 남짓한 초가집에서 홀로 차를 마시는 것은 완전한 자유인의 경지 아니면 누릴 수 없는 청복(淸福)이다. 일본의 다성(茶聖)은 센리휴다. 그가 이른바 ‘와비즈키’ 다도의 완성인 초암의 아름다운 정경을 한편의 광막한 시로 읊고 있다.‘와비즈키’의 정체성은 평범한 다도를 추구하는 데 있다. 평범, 불균형, 자연, 탈속, 정적인 것이 바로 와비즈키 정신이 추구하는 것이다. 그보다 더욱 더 중요한 것은 바로 평범하면서도 범속한 찻자리와 차도구들이다. 과거 명·청대에도 그랬듯이 차문화의 저변확대는 과도한 문화적 사치를 동반할 수밖에 없다.‘황금의 찻잔’으로 차를 마신다든지, 좋은 차를 감별하기 위해 차를 겨루는 ‘투다’ 등 다양한 문화적 변형들을 초래했던 것이다.

▲ 장작을 때는 전통가마에서 도자기를 굽기 위해 한 도예인이 불을 지피는 모습. 예부터 차인(茶人)들은 공존과 상생의 미학을 중시했으며 한국의 전통적인 찻사발에는 차인들의 이같은 자연과의 완벽한 조화를 추구하는 정신이 담겨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오늘날 우리 차인들의 찻자리도 마찬가지다. 이른바 제대로 된 찻자리를 꾸미기 위해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이 넘는 차 도구들을 갖추는 것을 마다하지 않는다. 심지어 중국에서 건너오는 자사호 같은 경우는 수백만원이 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비싼 다구가 능사가 아니라 차를 제대로 우려낼 수 있는 적절한 분위기와 품격을 갖춘 것이 차를 즐기는 차인들에게 필요한 것이다.

센리큐는 이같은 차인들의 문화적 사치에 대해 이렇게 충고했다.“다구가 좋은지 나쁜지 또는 새것인지 헌것인지를 따지는 것은 장사꾼들이나 하는 짓이요, 차의 도에 뜻을 둔 사람이라면 깨진 발우에라도 차를 마실 수 있소.”라며 다구의 좋고 나쁨을 질문하는 차인을 경책한 경우도 있다. 차인의 찻자리는 담백하고 검소해야 한다.‘조선의 찻사발’(이도다완)은 이같은 진실한 차인의 세계를 잘 담아내고 있다. 조선의 찻사발은 사찰에서 공양할 때 쓰는 발우를 닮았다. 발우는 우주의 생명을 담는 그릇으로 깨달음을 상징하는 ‘화현’같은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선찻사발의 미학은 바로 공존과 상생의 미학을 담고 있는 검박함에 있다. 꾸미지 않는 아름다움, 누구나 손에 붙잡고 밥이면 밥, 나물이면 나물, 차면 차, 그 어떤 생명의 공양들을 담아도 못나지 않는 우주적인 ‘화엄’의 미학이 깃들어 있는 것이 바로 ‘조선찻사발’이다.‘조선찻사발’의 미학은 먼저 미완성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절묘함에 있다.

서툴고 투박한, 그리고 다급해서 미처 갈무리를 짓지 못한 것 같은 미완성의 완벽함에 있다. 그러나 그 미완성 속에는 ‘완성’보다 더 완벽한 미학들이 깃들어 있다. 굽의 당당함, 그릇표면에 자연스럽게 그려진 자연을 닮은 문양, 온유한 색감, 가벼움과 높은 굽, 끊임없는 색의 변화와 따뜻한 촉감 등은 그 어떤 찻사발도 결코 흉내낼 수 없는 것이다.

조선찻사발이 일본의 국보로, 세계적인 명물이 된데는 참으로 드라마틱한 역사가 한몫을 했다.‘기자에몬이도’로 불리는 조선찻사발 이야기를 해보자. 기자에몬은 원래 다케다라는 성을 가진 오사카 상인의 이름이었다. 차를 무척 좋아했던 기자에몬은 조선의 찻사발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마구잡이로 수집, 가문의 가보로 아낄 정도로 소중하게 다뤘다.

▲ 한국의 전통 찻사발. 한국의 차인들은 예부터 다도의 근본을 인격의 완성이라고 보았다.
그 기자에몬이 수집한 찻사발이 17세기초 혼다다요시에게 헌납되고, 고오리야마의 나카무라 소에추를 거쳐 1775년 푸마이에게 넘어갔다. 기자에몬이도를 아낀 푸마이는 죽으면서 유언을 남겼다.“이 사발은 천하의 명물이다. 오랫동안 소중하게 보관하라.” 그러나 푸마이의 아들 게탄은 그같은 유언을 어기고 1818년 교토의 대덕사 분원인 고호안에 기증을 하고 만다. 게탄이 기자에몬이도를 기증한 이유는 단순했다. 기자에몬이도가 액운을 불러온다는 것이었다.

그 기자에몬이도는 그후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어 일본의 차인들뿐만 아니라 세계 차인들의 사랑을 받으면서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조선찻사발이 일본의 국보가 되고 최고의 다완으로 불리게 된 것은 바로 그 어떤 것으로 흉내낼 수 없는 자연적인 아름다움 때문이다. 물레를 돌리는 도공의 손에서 당당하고 즉흥적이면서도 질박한 자연적인 아름다움을 완벽하게 품고 있는 것은 오직 조선찻사발밖에 없기 때문이다.

마치 온 우주를 품고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하는 찻사발은 차인들에게 몽환적인 꿈같이 아련하게 다가오는 신기루 같은 것이다. 마치 봄날 아지랑이를 몰고오며 꽃의 향내를 피워내는 나비와 벌같이, 때로는 가까이 할수록 멀어져만 가는, 사랑하는 여인의 향내와 같은 끝없는 설렘만 던져주는 존재와 같다. 명품 찻사발은 그런 점에서 차인들의 오랜 꿈 같은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자신의 차 살림살이와 부합되는 명품찻사발은 어떻게 골라야 될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불이다. 첫째, 가능하다면 장작가마로 구워진 찻사발을 구하는 것이다. 찻사발의 생명은 ‘요변’이다. 가마에서 타는 장작불로 인해 화학적 결합으로 나타나는 도자기의 자연발색을 요변이라고 하는데 가마내의 기압, 습도, 장작의 두께, 포개짐 등 인간이 도저히 통제하기 불가능한 변수에서 생겨나는 자연적 결과물이다.

그 다음은 바로 ‘흙맛’이다. 옛날부터 도자기를 굽는 명인들은 질 좋은 흙을 찾아 전국의 산야를 미친 듯이 돌아다녔다고 한다. 명인들은 자신만의 흙을 고집하며 그 흙맛의 특색을 살리기 위해 최대한 노력한다. 다음은 차색과 찻사발에 관한 것이다. 차인들은 흔히 좋은 찻상이나 좋은 찻사발을 가지면 아름답고 품격있게 찻물을 들이기 위해 노력한다. 찻상이나 찻사발에 깃들인 찻물은 그 차 도구에 형용할 수 없는 기품을 선사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한 명품 찻사발에는 숨어있는 아름다움이 있다.

그 아름다움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찻잔을 떠받치고 있는 ‘굽’이다. 찻사발을 고즈넉하게 떠받치고 있는 굽은 싱그러운 말차의 향을 들이켠 후 그 찻잔을 뒤집어 보면 잘 알 수 있다. 장인들은 찻잔의 자연미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굽깎기에 최선을 다한다. 찻사발의 굽에서 장인의 진정한 솜씨가 판가름 나기 때문이다.

명품찻사발은 가볍다. 외관에서 보면 명품찻사발은 매우 무겁게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 그 찻잔을 들어보면 마치 종이를 들거나 바짝 마른 나무조각을 드는 것처럼 매우 가볍다. 일본에서 가장 먼저 국보급으로 지정된 조선찻사발의 무게는 고작 360g정도라고 한다. 참으로 종잇장처럼 가벼운 것이 바로 명품 찻사발의 기준이 되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찻잔속에 스미는 차색의 아름다움만 가지고 명품의 찻사발을 선별하는 품평회가 있을 정도다.

▲ 경기도 이천시 도예마을의 한 판매장에서 도자기를 고르는 외국인들. 한국의 전통 찻사발은 소박하고 투박하지만 ‘미완성의 미학’을 담은 때문인지 세계적인 명물로 꼽히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차로 인해 변하지 않는 찻사발은 그러므로 죽은 찻사발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찻사발이 명품 찻사발이 되는 것은 바로 찻사발을 사용하는 차인의 심미안과 인격에 의해 결정된다. 명인의 손길과 가마속의 불꽃으로 점화되는 요변을 통해 완성된 명품은 그 찻사발을 사용하는 차인의 차품에 의해 최종 완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어떤 경우든 차의 완성은 바로 인격의 완성에 있다. 먼저 물을 끓여 차를 집어넣고 적당히 우러난뒤 마시는 차인의 행위는 그 사람의 마음자리가 어디에 있는가에 완성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어느날 센리큐를 따르던 차인이 물었다.“스님 진정한 다도의 비밀은 어디에 있습니까.” 센리큐는 그 차인을 한참동안 바라보다 다음과 같은 답을 했다.“그대는 불을 지펴 물을 적당한 온도로 끓이고 차가 적당한 맛이 우러나도록 우려라. 그대는 다옥에 꽃과 나무를 마련하여 마치 그것들이 자라고 있는 것처럼 하라. 그리고 여름에는 선선하다는 암시를 주고 겨울에는 따뜻하다는 암시를 주라. 이밖에 다른 비밀은 없다.” 이 얼마나 명쾌한 대답인가.

차는 바로 일상속에서 거칠 대로 거칠어진 우리의 영혼을 쉬게 해주는 것이다. 추우면 추운 대로 더우면 더운 대로 삶과 함께하는 것이 바로 차인 것이다. 그리고 그 차는 바로 나를 제외한 소외된 자들에게 열려있는 따뜻한 나눔의 영혼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지암 암주

日 3대 명품찻잔 ‘쓰쓰이쓰쓰’

고려청자와 함께 세계적인 도자기가 우리나라에도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바로 일본에서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이도다완’이다. 일본 차인들 사이에서는 ‘신물’(神物)로 여겨지는 ‘이도다완’은 진주 웅천지역 등에서 생산된 조선막사발이다.

그 조선막사발을 우리는 ‘조선찻사발’로 부르기도 한다. 최근 우리나라 사발 장인들과 차인들 사이에서 새롭게 그 가치를 지닌 이름으로 재평가하자는 움직임에서 나온 것이다. 늦었지만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기도 하다. 최근 막을 내린 ‘불멸의 이순신’에 나오는 임진왜란을 ‘도자기 전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본 차인들은 ‘이도’를 찻사발의 으뜸으로 친다. 그밖의 찻사발에는 등급이 없는 것을 볼 때 조선찻사발의 위대함에 일본인들이 붙이는 찬사는 참으로 대단한 것이기도 하다.

조선찻사발 이야기중 일본천하 3대 이도다완으로 불리는 ‘쓰쓰이쓰쓰’ 찻사발 이야기를 해보자.‘쓰쓰이쓰쓰’ 찻사발은 비파색을 기본바탕으로 두터운 기벽, 은은한 물레자국, 태산을 짓누른 듯한 중후함, 크고 작은 빙렬의 아름다움 등 완벽한 명품다완이라고 평가받고 있다.‘쓰쓰이쓰쓰’라는 유래는 일본 전국시대 가장 큰 사건중 하나인 ‘혼노우지의 변’이다.‘혼노우지의 변’은 당시 가장 강력한 ‘쇼군’이었던 오다노부가나를 아케치 미쓰히데가 암살하는 사건을 말한다.

당시 쓰쓰이쓰쓰는 오다노부가나를 죽인 영주의 통치하에 살고 있던 이도요시 히로라는 사람이 가지고 있었다. 이도요시 히로는 당시 야마토고오리야마성의 성주 쓰쓰이케이의 부하였다. 주군의 원수를 갚으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그 유명한 야마사키 전투에서 승리하며 전국의 패자로 떠오를 수 있었다. 도요토미의 승리를 본 쓰쓰이케이는 자신의 목숨과 성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부하인 이도요시 히로가 소장하고 있던 ‘이도다완’을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헌납했다.

자신의 비천한 출신을 차도를 통해 극복하려고 했던 도요토미에게는 최고의 선물이었던 셈이다. 그 선물로 인해 쓰쓰이케이는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고 그 조선 찻사발의 이름을 ‘쓰쓰이이도’라고 이름을 붙인 것이다.‘쓰쓰이쓰쓰이도’라는 이름은 그 다음에 붙여지게 된다. 도요토미는 ‘쓰쓰이이도’를 천하제일의 찻사발이라고 극찬하며 아꼈다.

그러던 어느날 차를 시중들던 시동이 실수로 쓰쓰이이도를 떨어뜨려 다섯조각을 내고 말았다. 쓰쓰이이도를 아깝게 여긴 도요토미는 당시 자신의 차두였던 일본의 다성 센리큐에게 수리를 맡겼다. 센리큐는 그 다완을 이틀에 걸쳐 수리했다. 그리고 그 다완의 우주적인 심미감에 사로잡힌 센리큐는 도요토미도 모르게 찻사발에 차 한잔을 했다. 그러나 그같은 사실을 도요토미에게 들켜 엄청난 분노를 사게 됐다. 센리큐에게 수리된 쓰쓰이이도는 일본말로 다섯조각의 이도라는 뜻으로 ‘쓰쓰이쓰쓰이도’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쓰쓰이쓰쓰이도 찻사발은 현재 일본의 보물로 지정되어 가나자와현의 사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