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05. 27.
애기풀입니다.
지난 5월 27일 일요일 오후,
윗세오름 1700m에서 보았습니다.
오후 햇볕 찾아 들어
따뜻한 시간
잠시 나들이 나와 기지개 편
내 손자 닮은 애기풀을 만났습니다.
이 애기풀은 1750m 쯤
윗세오름 주변에서 보았습니다.
전생에 무슨 선연을 두었기에
이러한 빛깔과
고운 모습으로
오실 수가 있었는지
꽃을 바라 보면서
꽃향에 취하여
우리 손자 성찬이를
보는 듯
넘 아름답고
고귀함에
잠시간 주저 앉고 말았습니다.
몇 겁이 더 지나가야만
꽃의 이름으로 닿을 수 있을지
둘러보아도
흔적조차 남기지 않은
바람 처럼
산 그림자를 안아
가버린 낮은 좀매
다시 피어
저 바위로나 있어도 좋은 걸
............................................../////////////
애기풀 [milkwort](펌)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원지과의 초본성 반관목
Polygala japonica
원지과
한국·일본·중국·필리핀·인도차이나 등지
산지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가늘고 단단하며 밑 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가 10∼3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털이 있으며 길이 1∼3cm의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이 둥글거나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매우 짧고 털이 있다.
꽃은 4∼5월에 연한 붉은 색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짧은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화관은 나비 모양이고, 꽃받침조각은 5개인데, 그 중 2개가 크고 꽃잎 모양이며 날개처럼 된다.
꽃잎은 3개이고 밑 부분이 합쳐져서 한쪽만 터지며, 수술은 8개이고 밑 부분이 합쳐지며,
꽃밥은 노란 색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편평하며 지름이 7∼8mm이고 2개로 갈라지며 양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고
9월에 익는다.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과자금(瓜子金)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진해·거담 작용이 있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불면증에 효과가 있고, 해독 작용이 있어 인후염·종기·부스럼에도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필리핀·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