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05. 27.
돌매화나무
또는 암매라고도 합니다.
가장 작은 나무입니다.
한라산 특산종입니다.
지난 5월 27일, 일요일
백록담 북쪽 1900m 쯤에서 만났습니다.
6월이 지나는 시간
암매꽃이 피어날 것입니다.
그 시간 가까운 날에
갈 때에는
접사렌즈를 갖고
찾아가 보려 합니다.
시방도 눈에 아른거려
잠을 못 이룰 것만 같습니다.
백록담 다한 곳에서
혹독했던 겨울 시간을
다 떠나 보내고
저 홀로
바위에 내려 앉아
겨울 상흔을
삭이고 있었습니다.
삶전에
어떤 인연으로
이곳으로 다가와
뿌리 내려 우시는지
그 인연의 깊이를
알 수가 없어
미물
또한
스라림 것을
/////////////
돌매화나무(암매)(펌)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돌매화나무과의 상록 반관목.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돌매화나무과
한국(제주 한라산)
암매(岩梅)라고도 한다.
높은 산에서 자란다.
한 군데에서 많이 뭉쳐나고 가는 가지에 잎이 빽빽하게 달리며 털이 없다.
잎은 혁질(革質:가죽같은 질감)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다.
잎 끝은 둥글고 밑은 뾰족하며 잎자루의 밑이 줄기를 약간 싸고
길이 7∼15mm, 나비 3∼5mm로 톱니는 없다.
꽃은 지름 15mm이며 가지 끝에 백색 또는 분홍색으로 6∼7월에 1개씩 달린다.
포(苞)는 타원형으로 2∼3개가 있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밑쪽의 것은 가끔 꽃가지 가운데쪽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긴 원형이고 화관(花冠)은 백색이며 5개의 수술은 화관통부(花冠筒部) 끝에 달린다.
열매는 삭과(殼果)는 둥글고 지름 3mm 정도이며 꽃받침으로 둘러싸여 3개로 갈라진다.
제주도(한라산)·사할린·일본·북미서부 등지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