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08. 03.
뒷젼
무속의 한 제의입니다.
이 자료는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무당내력에 있는 내용입니다.
19세기 경에 채색도록으로서
한양 무당들의 행하는 각종 제의에 대하여
기록하여 놓은 자료집으로
작은책(규격 가로 17cm, 세로 21cm),
큰책(규격 가로 19.5cm, 세로 28cm)
2종이며, 전체 14면 이나,
복식과 상차림을 제외하고는 내용이 같습니다.
이 두가지의 자료 저자는 난곡(蘭谷)이나 제작시기는 미상입니다.
자료에 나타나는 각종 무당 복식에 의하여
년대 추정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만,
이 또한 과제입니다.
여기에서는 각 굿거리 별로
앞의 사진이 작은 책,
뒤의 사진이 큰책 그림입니다.
(작은 책) 뒷전
내용은
- 제의가 마무리 되면, 유주 무주 고혼, 원혼 등 일체의 잡귀들을 위해
별도의 젯상을 마련하여 먹임으로서 안정되게 하는 것입니다.
시작된 연대는 알 수가 없으나 이미 무가에 전해오는 풍습입니다.
(큰 책) 뒷전
상에는 떡을 놓고, 메를 세개 준비하여 놓았습니다.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제의에서는 마지막 부분에 가서
젯상에 차려 놓은 음식 조금씩을 잡식하여
지붕 위에 또는 대문 입구에 놓아 둡니다.
이는 잡신들을 먹임으로서 모두가 안녕을 위하고자 함입니다.
사찰에서도 스님들께서 공양 하실 때
잡신들에게 먹일 음식을 헌식하여 헌식대에 두시고,
공양 후에는
발우 씻은 물을 깨끗하게 하여,
아귀들이 먹을 수 있도록 별도의 정수구에 부어 놓습니다.
또한 예불 때에 올렸던 감로다를 이렇게 정해진 정수구에 부어 줌으로서
아귀들이 이 물을 먹고 이고득락하라는 의미가 담겨 있기도 합니다.
이렇듯 뒷젼은 무가뿐만이 아니라,
사찰, 민가할 것 없이 모든 제의 때에는 이렇게 뒷젼의식을 가짐으로서
모든 잡신들까지도 궁휼히 여기는 마음을 놓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