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섬의 풀꽃낭

별꽃

相民 윤봉택 2007. 2. 5. 17:46

2007. 02. 05.

 

무슨 꽃인지 분명하지 않았는데,

청로님께서 별꽃이라고 알켜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별꽃 같기도 한데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시는 님께서 덧글 주시면

후사(??!!)하겠습니다.

.................

 

이 풀은 월동을 하기 때문에

제주도인 경우, 보리밭 등에 잡초로 자라

아주 귀찮을 정도로 번식력 또한 강하여

겨우 내내 김을 매야합니다.

 

저도 초등학교 때

어머님 따라 김매던 생각이 납니다. 

우리 어머님이 계셨다면

 

무슨 풀인지 바로 알 수가 있는데

가고 아니계시니 답답한게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내일 아침

이웃 삼촌께 여쭤보고자 합니다.

 

오늘 천지연폭포 보수 현장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

가에서 만났는데

참 꽃이 ......

 

 

 

17325

 

 

 

 

 

 

 

 

 

 

 

 

 

 

 

 

 

 

 

 

 

 

 

 

 

 

 

 

 

 

 

 

별꽃(펌)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중심자목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Stellaria media

석죽과

전세계

밭, 길가

 

 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전체적으로 연한 녹색으로 높이 20cm 내외이고 밑에서 가지가 많이 나오며, 줄기에 1줄의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1~2cm, 나비 8~15mm이다. 밑부분 잎은 잎자루가 길고 윗부분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양면에 털이 없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나 때로 물결 모양으로 되기도 한다.

 

 꽃은 5~6월에 피고 흰색이며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포(苞)는 작고 잎같으며 가늘고 긴 꽃자루는 한쪽에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이고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다소 끝이 뭉뚝하며 길이 4mm 내외이고 녹색으로 외면에 선모(腺毛)가 빽백이 나있다. 꽃잎도 5개이고 2개로 깊게 갈라진다. 수술은 1~7개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殼果)로 달걀 모양이고 꽃받침보다 다소 길며 끝이 6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껍질에 유두상 돌기가 있다. 어린 잎과 줄기는 식용한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피임 ·최유제 등으로 사용한다.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에 분포한다.

'탐라섬의 풀꽃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수초  (0) 2007.02.20
광대나물  (0) 2007.02.07
섬동백  (0) 2007.01.17
흰동백  (0) 2007.01.16
수선화  (0) 2007.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