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섬의 풀꽃낭

광대나물

相民 윤봉택 2007. 2. 7. 00:19

2007. 02. 07.

 

광대나물입니다.

 

제주섬에 지천으로 자라면서

겨울날 농부님들을 가장 곤혹스럽게 만드는 대표적인 검질 중 하나입니다.

('검질'은 잡초의 제주어)

 

이 광대나물은 제주도가 따뜻하여 그런지는 몰라도

일년 내내 꽃이 피고 지면서 계속 자랍니다.

 

이 광대나물은

오늘

문화유산 현장에 나갔다가 봄바람보다 먼저 피어나는

풀꽃들과 더불어 법화사에서 함께 만났습니다.

 

 

지난 1월 24일

우리마을 해변 논둑길 따라 걷다가 쉬 살펴볼 수가 있었고,

 

2006. 11. 26일

송악산 주변과 사계해안 언저리에 있는

밭둑에서 보았습니다.

 

농부님들에게는

천덕꾸러기라 하여도

꽃이 넘 좋습니다.

 

추운 겨울 내내

잉잉 거리며

푸른 꿈을 돋아내는

그 소리가 아름답습니다.

 

 

 

17387

 

 

 2007. 02. 07. 법화사 정전에서

 

 

 

 

 

 

 

 

 

 

 

 

 

2007. 01. 24. 강정마을 해안에서

 

 

 2006. 11. 26. 사계리 해안에서

 

 

 

 

 

 

 

 

 

 

 

 

 

 

 

 

 

 

 

 

 

 

 

 

 

 

광대나물(펌)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두해살이풀

Lamium amplexicaule

꿀풀과

한국·중국·일본·타이완·북아메리카

풀밭, 습한 길가

 

 

 풀밭이나 습한 길가에서 자란다. 높이 30cm 정도이다.

 줄기는 모가 나고 가지를 치며 비스듬히 눕기도 한다. 잎은 길이 5∼10cm, 나비 3∼8cm로서 마주나며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길고 둥글다.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고 양쪽에서 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잎 앞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5월에 붉은 자줏빛 꽃이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씩 돌려난 것처럼 핀다. 꽃받침은 끝이 5mm 정도이고 5갈래로 갈라지며 잔털이 있다. 화관은 대롱 부위가 길고 아랫입술꽃잎이 3갈래로 갈라지며 윗입술꽃잎은 앞으로 약간 굽는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닫힌 꽃도 흔히 생긴다.

 

 열매는 분과로 3개의 능선이 있는 달걀 모양이며 전체에 흰 반점이 있고 7∼8월에 익는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민간에서는 풀 전체를 토혈과 코피를 멎게 하는 데 사용한다.

 한국·중국·일본·타이완·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탐라섬의 풀꽃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딸기  (0) 2007.03.11
복수초  (0) 2007.02.20
별꽃  (0) 2007.02.05
섬동백  (0) 2007.01.17
흰동백  (0) 2007.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