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섬의 풀꽃낭

복수초

相民 윤봉택 2007. 2. 20. 14:23

2007. 02. 14.

 

복수초입니다.

 

지난 2월 14일 문화재 현장 점검하다가 선덕사 뜨락에서 보았습니다.

 

저가 처음 이 꽃 이름이 '복수초'라고 알았을 때는

정말 복수하는 의미인줄로 착각했었습니다.

 

사실 그게 아니라는 것은 다음에야 알았습니다.

 

산기슭이거나, 나무 군락 아래

오전 햇볕이 들어 따사로운 곳에 잘 자랍니다.

 

그러다가

폭설이 나려 쌓인 뜸 새이로 꽃잎 돋아날 때면

참으로 안스럽습니다.

 

 

17914

 

 

 

                                                    꽃이 피는 날에는 - 소리새

 

 

        꽃이 피는 날에는 나는 사랑할래요.

 

                                                                     따스한 눈길로 그대를 난 사랑할래요

 

 

                                                     

                                                                                  바람부는 날에는 나는 노래불러요.

 

 

                       노을빛 물들은 들녘에 노래를 불러요

 

 

 

               

                                             아 -

                                  

                                                                         젖어드는 이마음 난 어쩔수 없어요.

 

 

                                                         아 -

 

 

                          별빛 내린 거리에 나홀로 외로이 서서 ,             

                                       

                                                                         새벽을 기다리며 모든걸 잊어야지

 

 

 

 

 

            꽃 - 이

                       피는 날에는 나는 사랑할래요,

 

                                                                 바람부는 날에는 나는 노래 불러요

 

 

 

                               노을빛 물들은 들녘에 노래를 불러요

 

 

 

                                                                        아 -

                                                                                젖어 드는 이 마음 난 어쩔 수 없어요

 

 

 

아 - 별빛내린 거리에

                                          나홀로 외로이 서서

                                                                           새벽을 기다리며 모든걸 잊어야지

 

 

 

 

 

            꽃 - 이 피는 날에는 나는 사랑할래요

                                                           꽃 - 이 피는 날에는 나는 사랑할래요

 

 

 

 

 

복수초 [福壽草](펌)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Adonis amurensis

미나리아재비과

한국 ·일본 ·중국

산지 숲 속



 원일초 ·설련화 ·얼음새꽃이라고도 한다.


 산지 숲 속 그늘에서 자란다. 높이 10∼30cm이다. 뿌리줄기가 짧고 굵으며 흑갈색의 잔뿌리가 많이 나온다. 줄기는 윗부분에서 갈라지며 털이 없거나 밑부분의 잎은 막질로서 원줄기를 둘러싼다. 잎은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에 작은 털이 있으며, 밑에서는 잎몸이 없고 밑부분 뿐이며 위로 올라가면서 어긋나고 깃꼴로 두 번 잘게 갈라진다. 최종 갈래조각은 줄 모양이고 잎자루 밑에 달린 턱잎은 갈라졌다.


 꽃은 4월 초순에 피고 노란색이며 지름 3∼4cm로 원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짙은 녹색으로 여러 개이고 꽃잎은 20∼30개가 수평으로 퍼지며 수술은 많고 꽃밥은 길이 1∼2mm이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 1cm 정도의 꽃턱에 모여 달리며, 공 모양으로 가는털이 있다.


 일본에는 많은 관상용 품종이 있고, 중국에서는 뿌리를 측금잔화라고 한다.


 한방과 민간에서 진통제 ·창종 ·강심제(强心劑) ·이뇨제(利尿劑)로 사용하지만 유독성 식물이다. 꽃말은 ‘슬픈추억’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탐라섬의 풀꽃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구리발톱  (0) 2007.03.12
장딸기  (0) 2007.03.11
광대나물  (0) 2007.02.07
별꽃  (0) 2007.02.05
섬동백  (0) 2007.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