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섬의 문화재

제주어 유네스코 '소멸 위기의 언어'로 등록

相民 윤봉택 2011. 2. 3. 21:41

2011. 02. 03.

 

제주어가 유네스코 ‘소멸 위기의 언어’로 등록

 
 
강영봉(제주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제주대 국어문화원장)
2011년 01월 31일 (월) 09:01:28

제주어가 유네스코 ‘소멸 위기의 언어’로 등록된 것은 유네스코가 제주어의 가치를 인정하고
무형의 문화재로 인식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제주어가 진중하다 함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국어사 또는 국어방언학 입장에서의 평가 또한 그러하다.
『제주어사전』 발간과 ‘제주어 보전 및 육성 조례’ 제정 등은 그러한 평가를 반증한 결과다.

제주어는 ‘제주 사람들의 생각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데 쓰는 전래적인 언어’를 말한다.
제주어가 제주 사람들이 예전서부터 써오던 언어이기 때문에 그 속에는 제주 사람들의 생각이나
감정이 녹아들어 있을 수밖에 없다.
 
이를 통하여 제주정신을 탐색하게 되고, 제주문화를 엿볼 수 있다.
제주어가 소멸된다면 본래의 제주정신은 퇴색할 것이며,
제주문화 또한 그 본래의 모습을 찾을 수 없다. 제주어를 보전하자는 것도
바로 제주정신 탐구와 제주문화 창달에 있다.

70% 이상 사용하는 제주어 6개 불과

그러면 과연 제주어는 소멸 위기의 언어인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은 2008년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이 수행한
『제주 지역어 생태 지수 조사 보고서』에 나와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문화 일반에 대한 어휘(나형 질문지) 90개 항목에 대하여
 ‘무슨 뜻인지 알고 있고 일상생활에서도 쓰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비  율

70-79%

60-69%

50-59%

40-49%

30-39%

20-29%

10-19%

0-9%

어휘수

6

6

9

12

8

11

23

15

 

▲ 유네스코 홈페이지 화면
 비율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을 말하는데,
70% 이상이 6개 어휘에 불과한 반면 50% 이하가 69개 어휘가 된다.
조사 어휘가 90개임을 감안하면 6개 어휘는 너무 적고, 69개 어휘는 너무나 많다.
20% 미만의 어휘도 38개나 되는데, 이런 어휘들도 얼마 지나지 않아
일상 생활에서는 쓰이지 않고 사전에만 남아 있는 어휘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런 어휘들은 대체적으로 70대 이상 어르신들이 쓰고 있어서
이 분들이 돌아가시면 소멸되고 말 것이다.

제주어 보전위한 자구노력도‘활발’

제주어 보전을 위한 자구 노력도 활발한 형편이다.
개인적 연구와 자료 조사와 그 결과의 축적은 물론, 행정 기관의 제주어에 대한 관심도
대단한 편이다. 제주도에서는 1995년 『제주어사전』을 발간한 데 이어서
2009년도에는 『개정ㆍ증보 제주어사전』을 내기도 하였다.
개인도 하기 어려운 개정ㆍ증보 작업을 행정 기관에서 한 사례는 없다.
또 18개 조항으로 구성된 ‘제주어 보전 및 육성 조례’도 2007년 9월에 제정되었다.
 
이 조례는 지역어에 대한 우리나라의 최초의 조례로 우수 조례로 대상을 받기도 하였다.

제주어가 유네스코와의 인연은 2007년 국립국어원과 국립민속박물관이
제주어를 유네스코 무형 문화재로 등록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데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그 이후 별다른 진전은 없었다.

2010년 2월 유네스코 아프리카 언어 담당 마티스(B. Matthias) 교수가
제주어에 관심을 가지고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과 전자우편을 교환하기 시작했고,
그는 3월 27일과 28일 제주도를 방문하였다. 일본 류쿠어 조사차 일본에 들렀다가
제주도를 방문한 것이었다.
 
마티스 교수는 제주대학교 국어문화원을 내방하여 강영봉 원장을 비롯하여
김순자ㆍ김미진 연구원, 제주대학교 영어교육과 양창용 교수와 함께 제주어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국어문화원에서는 ꡔ개정 증보 제주어사전ꡕ, 「제주어 보전 및 육성 조례」,
ꡔ제주 지역어 생태 지주 조사 보고서ꡕ 등 3건의 제주어 자료를 건넸다.

그는 유네스코에 돌아가서 ‘Jeju, an Endangerde Language in South Korea’를 제출하는 한편,
6월 20일 제주어를 유네스코 위기의 언어로 등록하기 위한 자료를 전자우편으로 요청해옴에 따라
3월에 마티스 교수를 만났던 네 사람은 의견을 교환하고 자료를 수합, 정리하여 마티스 교수에게 보냈다.

또 마티스 교수로부터 8월 9일 유네스코 사라지는 언어 담당 전문가들과
의견 교환(전자우편 포함)을 하고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 4개월의 논의 과정을 거친 뒤
지난 12월 16일 마티스 교수로부터 제주어가 유네스코 ‘소멸 위기의 언어’로 분류,
등록되었다는 전자우편을 받게 된 것이다.
 
참고로 유네스코가 소멸 위기 언어로 판단하는 9개 항목의 기준은 아래와 같다.
①새대 간의 언어 전승
②화자의 절대 수
③전체 인구 대비 해당 언어 구사자 비율
④언어 사용 분야의 변화
⑤새로운 영역, 매체에서의 반응
⑥언어 교육과 읽고 쓰기 자료 사용 여부
⑦해당 언어에 대한 공식적인 지위 부여와 사용을 포함한 정부와 해당 기관의 태도와 정책
⑧해당 언어에 대한 그 지역 사회 구성원의 태도
⑨해당 언어 자료의 양과 질

사라져가는 제주어 자료 조사·집적 ‘시급’
  • ▲ 제주어 말하기 대회

이제 제주어는 유네스코 ‘위기의 언어 프로젝트’에 따라
‘아주 심각한 위기에 처한 언어’(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로 분류, 등록되었다.
 
이에 앞으로 우리들이 해야 할 일만 남은 셈이다.
마티스 교수가 제시하는 일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사항이다.
①언어 보전 정책을 구체적으로 세워야 한다.
②외국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수집해야 한다.
③언어 교육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④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언어가 되어야 한다.

제주어 보전 정책은 2007년 제정된 「제주어 보전 및 육성 조례」에 아주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를 수행한다면 정책적으로 부족한 점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외국의 사례는 행정 기관과 학계가 머리를 맞대면 그리 어렵지 않은 문제라 판단하고 있으나,
제주어 교육을 강화하는 문제는 아주 어려워 보인다. 2007년부터 해마다 제주어 교육 자료를 만들고 있지만
실제 학교에서는 교재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데 어려움이 있다.
 
입시라는 제도가 그렇고 표준어 교육이 그 장벽으로 보인다.
이 부분을 많은 사람들이 지혜를 모아야 할 부분이다.

실생활에서 제주어를 쓰는 문제, 이 문제는 이중 언어 생활을 하면 되리라 본다.
여기서 말하는 이중 언어 생활이란 공적인 생활에서는 표준어를 사용하고,
사회 생활이나 가정 생활에서는 제주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꿈을 제주어로 꾸는 한 제주어는 우리들 본연의 언어이며 결코 버릴 수는 없는 언어라는 말과 같다.
우리들 어머니와 같은 제주어를 소멸 위기에서 구해야 할 책무가 바로 여기에 있다.
우선 우리가 화급하게 해야 할 일은 사라져가는 제주어 자료 조사와 집적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탐라섬의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정 개구럼비당  (0) 2011.11.07
강정동 유적  (0) 2011.10.25
추사문화예술제  (0) 2010.11.28
서귀포 천지연생수궤 구석기유적  (0) 2010.11.14
구억마을 전통옹기축제  (0) 2010.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