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30

거조암 영산전

2008. 03. 09. 국보 제14호 거조암 영산전입니다. 지난 3월 8일, 봉정사 극락전을 지나청령포를 건너다음 날 9일에는 거조암 영산전을 찾았습니다.  거조암은 영천 은해사 산내에 딸린 암자입니다. 신라 효성왕 2년(738) 원참도사가 창건하셨고,그 뒤 혜림법사(慧林法師)와 법화화상이 영산전을 건립하여 오백나한을 모셨다고 전합니다. 거조암은 당초 거조사(居祖寺)라하여 은해사 창건보다 먼저입니다.원래 거조암은 1190년(명종 20)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이 이곳에서 정혜결사(定慧結社)를 조직할 정도로 큰 사찰이었으며, ≪동국여지승람≫에도 거조사로 나타나지만 상세한 기록이 없습니다. 그러나, 1970년 보수공사 때 중수 상량문이 발견되어 건립시기가 밝혀졌습니다.기록에 따르면 1375년(우왕 ..

거조암

2008. 03. 09. 거조암입니다. 지난 3월 8일,내 오랜 기억을 소환하면서안동시에 있는 국보 15호 봉정사 극락전을 넘어,강원도 영월 땅 청령포를 지나 9일에는경북 영천시 청통면 신원리 622번지에 있는 거조암을 찾았습니다. 거조암은, 정혜결사의 도량입니다.정혜결사는, 고려조 지눌(1158~1210) 스님께서 31세 되시던 1188년에 이곳 거조암에 오시어수행하시면서 33세가 되시던 해에,우리 불교 수행사에 길이 빛날 권수정혜결사문 (勸修定慧結社文)을 발표하였던 곳이 바로 이곳 거조암입니다. 그후 지눌 스님은 이곳에서 8년동안 수행하신 후, 43세가 되시 던 1200년에 송광사(길상사)로 가시어정혜결사(定慧結社)를 이룩하십니다. 지눌 스님께서 한국불교의 중흥조로 추앙 받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습..

봉정사 극락전

2008. 03. 08. 봉정사 극락전입니다. 봉정사 극락전은 우리나라 사찰 건축 뿐만이 아니라고건축의 메카로서 현전하는 건축물 가운데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중창된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이는 1974년 해체수리 때에 발견된 상량문  '前中創至正 二十三年 癸卯 三月日'이라는 구절에서, 중창은 중창(重創)을 의미하며 지정 23년은 고려 공민왕 12년(1363)을 말합니다. 이를 만나기 위하여지난 3월 8일  봉정사를 찾았습니다. 봉정사는 경북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1번지 천등산 산하에 있습니다. 국보 제15호인 극락전, 보물 제55인 대웅전,보물 제 448호인 화엄강당, 보물 제449호인 고금당 등이 줄비한 봉정사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입니..

봉정사

2008. 03. 08. 봉정사입니다.지난 3월 8일 토요일 내 오랜 반연과 함께 봉정사를 찾았습니다.리포트 때문이기도 하였지만의미를 따라 더 가고 싶었던 곳이기에 그 기쁨이 더하였습니다. 봉정사는 경북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1 천등산 자락 다한 곳에 있습니다. 국내 현전하는 목조 건물 가운데,가장 오랜 국보 제15호인 극락전, 그에 버금하는 보물 제55호인 대웅전,그리고 보물 제 448호인 화엄강당, 또한 보물 제449호인 고금당, 덕휘루, 무량해회, 삼성각 및 삼층석탑 등현전하는 보물상자라고나 할까요, 봉정사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입니다.천등산은 원래 대망산이라 불렀는데,능인대사가 젊었을 때 대망산 바위굴에서 도를 닦고 있던 중 스님의 도력에 ..

봉암사 정진대사 원오탑비

2007. 10. 19.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鳳巖寺靜眞大師圓悟塔碑)입니다. 2007년 10월 19일 봉암결사 60주년 기념법회에 참석하였다가, 돌아오면서 친견하였습니다. 이 탑은 봉암사 입구 개울 건너 우측 채마전 옆에 세워져 있습니다조성시기는 고려 전기로서 보물 제172호로 1963년에 지정되었습니다.  정진대사(878∼956)는 공주(公州) 사람으로서 왕씨(王氏)인데 남혈원(南穴院)에 있던 여해선사(如解禪師)로부터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승려가 되었습니다.   효공왕 4년(900) 당나라에 들어가 25년간 유학하고 경애왕 1년(924)에 돌아와 신라 경명왕의 극진한 예우를 받았으며,  고려 태조 18년(935)에는 봉암사를 두번째로 크게 짓고, 불교의 중흥에 이바지하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고려 전기..

완도 청해관

2007. 10. 26.  청해관입니다.  지난 10월 26일 학교 갔다가 카페리에 기대어 완도로 내려오던 중에같은 원생의 안내로 답사하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청해관(淸海館)은 가리포진加里浦鎭의 객사로서전라남도 완도땅 읍내 군내리 782번지에 있습니다.  객사는 지방을 방문한 공무 수행자들의 숙소를 말하나,그 기능은 매우 다양합니다.  매월 1일과 15일에는 궐패와 전패를 모셔 북쪽을 향해 예를 올리고국가의 대소사에서도 이곳에서 예를 올렸습니다.  이 청해관은 조선조 경종2년(1722년)에 세워졌고, 1869년에 보수되었습니다.호남제일번湖南第一藩이라는 현판은 철종 5년(1854) 당시 첨사였던 홍선의 글씨입니다.  28643    청해관 정문입니다.전면3칸, 측면 단칸, 홑처마, 맞배지붕 양식의 솟을삼..

창경궁

창경궁은 한일합방 시기에일본인들에 의하여 훼손된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입니다.헌데아직도 그 부분이 남아 있습니다.  9324  창경궁입니다.  창경궁과 창덕궁을 나타내는 담장입니다.헌데 이 담장이 문제입니다.윗 부분은 좋은데아랫 부분의 석축은 일본식 석축양식인 견치석쌓기(다이아몬드형)으로 하였습니다.참 이해가 되지 못하는 부분입니다.  창덕궁에서 창경궁으로 건너 다니는 문입니다.문 좌우에 보이는 기초 부분처럼 토대를 다져서 해야하는데......  전부 일본식 석축 양식으로 하여 놓았습니다.참 답답합니다.어디이 뿐입니까우리나라 도로공사 등 각종 토목공사 시에 나타나는 석축은 95%이상 견치석으로 쌓고 있습니다.어디에서 부터 잘못되었는지 모릅니다.우리 고유의 석축 양식이 있는데도 말입니다.   그나마 다행인..

고운사

고운사는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등운산 자락에 있는 고찰입니다.  그 곳에 가면늘상비어있는 듯산 하나를 안고 선그 님을 만날 수가 있습니다. 우리가, 이 땅에 태어나기 전만남을 빚어 놓은바람의 소리를고운사 한켠공루 끝자락에 걸린목어의 머언 그리움으로볼 수가 있습니다.  9343  고운사 숲길혼자 보다는 둘이 걸어가면 참 좋습니다.   그날에대웅전 자리 건너 동녘에 자리한, 지금은 큰스님들께서 수행하시는 선원입니다.팔작지붕입니다. 그 합각벽을 나무판을 사용하지 않고 기와와 석회를 이용하여 V문양을 하여놓았습니다.담장을 암기와로 엮어 만든 모양이며,문인듯 아닌 듯이 걸처놓은 문살이 참 좋아 보입니다.  멍에처럼 계곡을 사이에 두고 가운루를 빚었습니다.좌측으로 이어진 후원길 또한 협소한 공간을 가운루라는..

송림사

송림사는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팔공산 끝 자락 다한 곳에 있습니다. 송림사에 가면그 사람을 만날 수가 있습니다. 낙동강 구비 구비 풀어 놓은 삶전의 이야기와천년의 꿈을 잉태하여순산을 기다리고 선 전탑 아래에서그 바램의 소리를 들을 수가 있습니다.  9301   송림사 지킴이 오층전탑입니다.우리나라에 몇 안되는 전탑 가운데 하나입니다.보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낙동강 상류의 진흙을 빚어 만든 듯 합니다.그래서 그런지 유독 경북에 많습니다.     송림사는 여느 사찰과는 달리 평편한 대지에 건립된 평지형사찰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담장도 참 멋 있습니다. 오층전탑과 대웅전입니다.  전탑의 기단부입니다.세월의 무게인 듯전생의 홀씨들이 인연이라는 바람에 기대어옥개석 틈새이로 인연이라는 뿌리를 심고 있습니다...

선덕사

선덕사善德寺는 제주도 서귀포시 상효동 1156-6번지에 있으며, 서귀포시지정 향토유형유산 제3호로 지정(2005. 3. 16)되어 있습니다.  선덕사善德寺의 창건 연대는 미상이나, 1870년경 쌍월선사雙月禪師와 응월화상應月和尙이 수행하셨던 도량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상효동 85-1번지에는 쌍계암雙溪庵 또는 두타사頭陀寺라 불려지던 암자가 1930년대 까지 있었으며,  임제 백호(林悌 白湖. 1549~1587)가 1578년 2월 15일 존자암尊者庵 주지인 청순淸淳스님의 안내로 백록담을 등산한 후, 지금의 ‘선돌’로 하산하면서 쌍계암에서 하룻밤을 머물렀으며 다음날 영천사지靈泉寺址를 지나 갔다라고 「남명소승(南溟小乘」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곳 선덕사가 중창하게 된 동기는 1982년 조계종 종정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