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30

남장사

남장사南長寺는 경북 상주시 남장동 502번지 노악산 자락에 있습니다.  신라 42대 흥덕왕 7년에 진감국사 혜소스님께서 창건하시고, 고려 명종 16년에 현 위치에 옮겨 짓고 남장사라 하였습니다. 특히 진감국사에 의해 남장사는 어산(범패)이라 불려지는 불교음악의 최초 전래지이며 보광전 철조 비로자나불과 전단향나무로 조성해 봉안한 후불목각탱은 국내에서 우수한 걸작으로 불교미술을 대표합니다. 1970년대 성웅 수봉스님께서 주지로 취임하시여 많은 대작불사를 추진하고 있으시며, 1997년에는 조계종 총무원으로부터 전국 2230개 사·암 중 6개 전법도량의 하나로로 지정 받아 지역사회에 일익을 담당 큰 역할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회 변동에 주도적으로 대응 역사인식과 전통사 찰로서 복지관·자활후견기관을 수탁받아..

구룡사

구룡사龜龍寺는 부산시 북구 덕천2동 산93번지 일원에 자리한 구포 왜성(부산지정 기념물 제6호)의 바로 아래에 있으며, 680년(신라 문무왕 20년) 의상대사義湘大師께서 창건했다고 전합니다.  당시 사찰명칭은 선림사仙休寺였으나 후에 구룡사龜龍寺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1603년(조선 선조 36년) 선수대사善修大師께서 중건을 하였고, 1612년(광해군 4년) 각성선사覺性禪師께서 중수하시였고, 이후 옥순 ·  도월화상이 수선(修繕)이 있었다.  지금의 금당은 저의 은사스님이신 성학 선효 性學禪曉 대종사께서1981년 사세를 확장 중건하였습니다. 2006년 3월 18일 구룡사를 찾았을 때 찍은 것입니다. 구룡사 전경8150 8149구룡사의 천불보전(금당) 구룡사 후면에 있는 구포왜성 ..

송계사

송계사는 경남 거창군 북상면 소정리 산 27번지에 있는 절입니다.  덕유산 남쪽 기슭 수유동 골짜기에, 신라 진덕여왕 6년(652년)에 원효, 의상대사께서 영취사를 창건한 뒤 5개 부속 암자를 세웠을 때 송계암이라고 이름하여 창건했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때 전소된 뒤, 숙종 때 진명대사께서 중건하셨고, 6.25전쟁으로 소실된 것을 1969년 승민스님이 다시 지었으며, 1995년에 원정(圓靜)이 1969년 중창 때 건립한 영취루가 기울어 진 것을 해체하여 다시 짓고 문각(門閣)이라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극락보전을 중심으로 대웅전·문각(종각)·요사채 등이 있으며 유물로는 아미타여래좌상·소종(小鐘)·탱화 3점 등이 있습니다  저가 송계사를 찾은 것은 2006년 1월 13일 이었습니다. 주지 ..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

2007. 10. 19.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입니다. 2007년 10월 19일 문경 봉암사 봉암결사 60주년을 기념하면서조계종의 사부대중들이 부처님 법대로 진솔하게 수행하겠다며제2의 봉암결사를 삼보전에 맹세하는 현장을 보았습니다. 그 때 담은 사진입니다. 지증대사(824∼882)는 구산선문의 하나인 희양산문을 개산하신 개산조입니다.  다른 산문인 경우에는 대부분 개산조가 중국에 들어가 선종의 맥을 이어 받았으나, 봉암사의 희양산문은 유일하게 당나라에 가서 법을 구하지 않았으나,   신라 진덕여왕(647~654) 때 당나라로 가서 중국 선종의 제4조인 도신스님의 법을 전해 받은 법랑法朗스님의 전법제자인 신행神行스님(후에 신수문하에서 북종선도 전해 받음)과 그의 전법제자 준범遵範에서,..

봉암사 극락전

2007. 10. 19.  봉암사 극락전입니다.  이 극락전은법주사 팔상전, 1984년 소실 복원된 쌍봉사 삼층목탑과 더불어 목탑양식의 건조물로 매우 소중합니다.  1991년 3월 25일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255호로 지정된 극락전은 경북 문경시에 있습니다.  지난 10월 19일 봉암결사 60주년을 맞아, 우리나라 조계종 스님들이 봉암사 법당 정전에서 내리는 비를 무릅쓰고,  지금까지는 부처님의 뜻을 많이 거스렸지만,     이후 부터는 부처님 법대로만 사시겠다시면서, 제2의 결사를 봉행한 그날에, 저 또한 봉암사를 찾아 지심정례로 참회를 하였습니다.  봉암사 극락전은 봉암사 큰법당 정면 우측에 세워져 있습니다.  현전하는 봉암사의 건물은 대부분 근래에 재건 또는 새롭게 지어진 것이지만, 이 극락전은 오..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2007. 10. 19.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산54-1번지문경 봉암사 백운대 계곡에 모셔진마애 미륵보살좌상입니다.  지난 10월 19일 봉암결사 60주년 법회에 참석하였다가참배를 하였습니다.  이 보살좌상은 경상북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121호입니다.  봉암사의 마애불상은 조선시대의 고승인 환적스님(1603-1690)이 조성한 것으로 전해지는 원불(願佛)입니다..   환적스님은 1690년 해인사 백련암에서 입적하셨습니다만, 가야산 해인사에 호랑이들이 사람을 살생하지 못하도록 한 스님으로 유명한데, 사찰에 호랑이를 타고 있는 벽화가 바로 환적대사입니다.  이 스님의 진영은 해인사 백련암에 모셔저 있습니다. 또한 스님께서는 백련암 위에 환적대라는 곳에서 수행하시면서 가야산 산신령을 놀려주곤 했다..

봉암결사 60주년 기념식

2007. 10. 19(금) 음 9. 9. 11:00  지난 2007년 10월 19일(음 9월 9일)에 경상북도 문경군 가은읍 희양산 봉암사에서 봉암사결사 60주년 기념 대법회가 열렸습니다.  문경 봉암사의 태고선원은 조계종 종립 특별선원으로서1982년부터 지정되면서 스님들의 수행을 위해 매년 부처님오신날을 제외하고는 산문을 닫아 놓습니다.  지난 19일은 봉암결사 60주년을 기념하여 열리는 특별법회가 있어 일시적으로 개방하였었기에 그 법회에 다녀 왔습니다.  봉암결사는1947년 당시 젊은 비구 스님이셨던 성철‧보문‧자운‧우봉스님이 1차로 봉암사에서 수행종풍을 진작시키고 활연대오하기를 서원 결사하신 것을 봉암결사라 하고, 결사에 참가하신 스님들이 서로가 수행하시면서 지켜야할 18조항의 규약을 공주규약이라..

공주규약

봉암결사(鳳巖結社)의 공주규약(共住規約)   지난 2007년 10월 19일(음 9월 9일) 경상북도 문경군 가은읍 희양산 봉암사에서 봉암사결사 60주년 기념 대법회가 열렸습니다.    봉암결사는 1947년 당시 젊은 비구 스님이셨던 성철‧보문‧자운‧우봉스님이 1차로 봉암사에서 수행종풍을 진작시키고 활연대오하기를 서원 결사하신 것을 봉암결사라 하고, 결사에 참가하신 스님들이 서로가 수행하시면서 지켜야할 18조항의 규약을 공주규약이라 합니다.   결사(結社)에 대한 유래는 동진(東晉) 때의 혜원법사慧遠法師(334~416/東洋畵의 畵題 중 하나인 虎溪三笑의 어원인 虎溪 東林寺의 高僧)가 여산(廬山)의 호계 동림사(虎溪 東林寺)에 있을 때 당시 고승들과 명유 등이 와서 향화로 공양하기를 청하자, 이에 법사가 3..

봉암사

2007. 10. 19. 오늘은 문경 땅우리나라 선종의 선맥이 흐르는 봉암사 가는 길...... 오늘은 문경 봉암사가석가모니 부처님 오신날을 제외한 가운데유일하게 산문을 개방하는 날입니다. 바로 2007년이, 1947년 문경 봉암사결사가 있은지 60주년에 되는뜻 깊은 해이기 때문에 조계종에서는 오늘을 기념하여 종립선원인 문경 봉암사 산문을기념법회에 즈음하여 일시적으로 개방하였습니다. 1973년 동안거 다가오던어느 날,도반들과 더불어 문득 찾았던 그곳오늘은 나그네가 되어 찾았습니다. 문경 봉암사는경상북도 문경군 가은읍 원북리 해발 998m의 희양산 산자락에 있으며, 김천 직지사 말사입니다. 서기 879년(신라 헌강왕 5년)에 _지증국사께서 창건한 고찰로서선종산문인 구산선문의 일맥인 희양산문입니다. .그후 ..

화순 동복호 적벽

2007. 8. 17.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에 있는 동복호입니다. 지난 8월 17일 시험을 마치고 나서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협동과정석-박사과정의원생 동료들과 같이 교수님들을 뫼시고 화순군의 협조를 얻어화순군 동복호 유적을 답사하였습니다. 이날 답사에는 지역 향토사학자께서 함께 하여 주셔서더욱 뜻 깊은 시간을 가질 수가 있었습니다. 동복호는,1971년 착공된 후 1980년대 중반담수되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오늘 우리는사라진화순의 명승지 적벽 등에 대한수향만리가 되어버린수몰지역 마을 우를답사하는 소중한 시간을 가질 수가 있었습니다.  24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