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슬붕이 2006. 9. 23. 고산구슬붕이 인 듯합니다. 지난 9월 네번째 주 23일 해발 1800m 전후하여 백록담 서북벽 등산로 답사 도중에 만났습니다. 식물도감에는 4월에 개화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만, 모양새로 보아서는 고산구슬붕이 같습니다. 알고 계신 분 덧글 주십시오 다음날에는 흰그늘용담을 올리겠습니다...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25
구름떡쑥 2006. 9. 23. 구름떡쑥입니다. 한라산에서 자생하는 특산종입니다. 지난 토요일 23일 윗세오름을 지나 국립공원의 입산허가를 받아서 지금은 휴식년제가 시행되고 있는 백록담 서북벽코스를 따라 해발 1900m 지점까지 답사를 하다가 개울 지나면서 부터 만나기 시작하였습니다. 다음에는 고산구슬붕이를 ..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25
한라구절초 2006. 9. 23. 한라구절초입니다. 하이얀색입니다. 주변에 구절초도 함께 있는 것을 담았습니다. 비교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 지난 토요일 23일 윗세오름을 지나 국립공원의 입산허가를 받아서 서북벽코스를 따라 1900m 까지 답사를 하였습니다. 이 한라구절초는 1880m쯤에서 만났습니다. 서북벽 코..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24
털기름나물 2006. 8. 26. 털기름나물입니다. 지난 8월 마지막 주 26일 영실 산행에서 만났습니다. 해발 1400m 넘어서면서 영실절벽 방향으로 해발 1600m까지 참으로 많이 피어 있었습니다. 내일 다시 영실 산행하려 합니다. 그러나 바람이 불면 갈 수 있으나 비가 온다면 갈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털기름나물(펌) 쌍떡잎..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22
미로 2006. 8. 26. 지난 8월 마지막 주 26일 영실 산행길에서 보았습니다. 이질풀 인지 털쥐손이 인지 아시는 님께서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22
짚신나물 2006. 8. 26 짚신나물입니다. 8월 마지막 주 26일 영실 산행마치고 내려오던 길 서귀포자연휴양림 下 거린사슴에서 보았습니다. 짚신나물(펌)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Agrimonia pilosa 장미과 한국·일본·중국·인도·히말라야·몽골·아무르·시베리아·유럽·사할린 등지 풀밭이나 ..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20
제주황기 2006. 8. 26. 제주황기입니다. 지난 8월 마지막 주말 26일 영실에서 윗세오름으로 가던 도중 해발 1500m 지나 1600m 중간 지점에서 만났습니다. 군락을 이루고 있었는데 영실절벽 방향에 있었습니다. 제주황기 [濟州黃芪] (펌)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Astragalus membranaceus var. alpinus 콩과 ..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17
진교 2006. 8. 26. 진교입니다. 지난 8월 마지막 주 26일 영실 산행에서 개울 닿기 전 그 곳에서 많이 볼 수가 있었습니다. 진교 미나리아제비과 뿌리는 약용 .................... (펌) 전국에 분포되어 숲속 그늘진 곳에서 자라며 키는 30~80cm로 자라고, 여러해살이 풀로 종자로 번식된다. 잎은 뿌리잎은 모여나며 잎자..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16
나비나물 2006. 8. 26. 나비나물입니다. '지도그리기'님이 이름을 알려 주었습니다. 지난 8월 마지막 주 26일 영실 산행에서 영실휴게소 지나 개울 건너 동산 다 오르면 해발 1400m 표지석이 보이고 그 우 주변에서 보았습니다. 나비나물(펌)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Vicia unijuga 콩과 한국·일본·중국..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