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신(??????) 2006. 8. 26. 꿩이다리와 비슷한데 어떤 종류인지 알지 못하겠습니다. 지난 8월 마지막 주 26일 영실 산행길 해발 1500m 너머 구상나무 숲에서 보았습니다.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14
영실 2006. 8. 26. 지난 8월 마지막 주 토요일 영실 모습입니다. 내려오는 길엔 산비와 같이 하산하였습니다. 올라 선 인생 길도 뒤 돌아서면 내려 가는 첫 길이 되는 것을 다시 무얼 찾아 낮은 구상나무 숲길을 가려하시는지 다달아 보면 보이는 것 모두 길이 되어 있는 것을 저 언덕 낮은 숲길 수고로이 헤집어..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14
가을(?????) 2006. 8. 26. 알려주세요(?????) 지난 8월 마지막 주 26일 영실 산행에서 보았습니다. 영실 휴게소에서 1500m쯤에 있는 개울 근처입니다. 백리향 같기도 하고요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14
바위떡풀 2006. 8. 26. 바위떡풀입니다. 손녀뻘 되는 '지도 그리기'님이 알려 주신 것입니다. 지도그리기는 같은 직장의 동료이기도 합니다. 저보다 더 바쁘기 때문에 한달에 한번 얼굴 보기가 힘이 듭니다. 마음이 참 고운 서귀포 아가씨입니다. 야생화에 대하여 일가견을 갖고 있는 줄은 저도 모를 정도로 매사에 ..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14
바보여뀌 2006. 8. 26. 바보여뀌입니다. 아마 바보스런 채집가가 붙인 이름 같습니다. 살펴보면 꽃 잎 하나 하나가 그렇게 아름다울 수가 없는데 말입니다. 영실 휴게소 지나 개울가 8월 마지막주 토요일 26일 영실 산행에서 보았습니다. 저가 어렸을 때 입니다. 물가에 가면 여뀌가 아주 많습니다. 이 여뀌를 이용하..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13
미역취 2006. 8. 26. 미역취입니다. 영실 휴게소에서 조금 가면 개울 하나가 나옵니다. 그 사이에서 처음 보이더니 해발 1500m까지 피어나고 있었습니다. 지난 8월 마지막 주 26일 입니다. 미역취(펌)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국화과 한국 ·일본 산과 들의 볕이 잘 드..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13
미국등골나물 2006. 8. 26. 미국등골나물입니다. 등골나물과 비슷합니다만, 북미에서 목초 씨앗 등에 몰래 숨어 들어온 식물입니다. 요즘 이런 식물들 참 많습니다. 세계화 되면서 나타나는 가장 큰 피해인 듯 합니다. 어찌 식물 뿐이겠습니까. 생태계를 위협하는 가장 큰 문제아입니다. 8월 마지막 주 토요일 영실 산행..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13
마타리 2006. 8. 26. 마타리입니다. 8월 마지막 주 영실 산행 마치고 돌아오면서 서귀포자연휴양림 지나 보았습니다. 마타리(펌)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꼭두서니목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Patrinia scabiosaefolia 마타리과 일본 열도의 북쪽부터 남으로 타이완 ·중국 및 시베리아 동부 산이나 들 산이나 들에서 자..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13
둥근잔대 2006. 8. 26. 둥근잔대입니다. 한라산에서 볼 수 있는 둥근잔대입니다. 8월 다하던 날 26일 영실 산행길에서 보았습니다. 해발 1500m 구상나무 숲 가까운 거리 그 거리만큼 도란도란 피어 있었습니다. 둥근잔대(펌)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Adenophora coronopifolia 초롱꽃과 한국 제주 한라..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12
구름체꽃 2006. 8. 26. 구름체꽃입니다. 8월 마지막 주 영실 산행에서 만났습니다. 많이 만나지 못할 만큼 개체 수가 적었습니다. 1500m쯤 영실 절벽 가까이로 피어나고 있었습니다. 구름체꽃 (펌)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산토끼꽃과의 두해살이풀. Scabiosa mansenensis for. alpina 산토끼꽃과 한국 한국(한라산 및 북부지방.. 탐라섬의 풀꽃낭 2006.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