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30

청암사

2004. 5. 16 청암사입니다. 김천 직지사 말사입니다.  10014   청암사 일주문입니다.일반 사찰의 일주문과 흡사함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이곳 저곳 촬영하여 올리고 싶었으나 그러하지 못해 일부만 올립니다.    대운당 비각입니다.1911년 청암사가 화재로 전소되자 중창하신 큰스님이십니다. 청암사는한일합방 시기에 중창되었던 관계로 대부분 건물이 화재 이후에 지어진 것입니다.때문에 석축 등이 일본석축 양식인 견치석 쌓기로 되어 참으로 아쉬움을 주었습니다.   부도입니다.부도 울타리를 한 담장이 아지런하게 잘 다아져 있습니다.    극락전 출입문의 금강역사입니다.참 귀엽(!!!)습니다.그래도 잘못하면 큰코다치게할 것입니다.    극락전 입구에 있는 놓여진 출입문의 기둥입니다.기둥이 습기에 쉽게 썩지 ..

신흥사

2007. 02. 10. 설악산 신흥사입니다. 지난 2월 10일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에 있는 설악산 신흥사를 찾았습니다. 신흥사에 가면 조계종 종정을 3대나 재임하신우리 노사님이신고암대종사님의 사적비와 사리탑이 모셔저 있어더 그리운 산사입니다. 오늘 까지 나들이 하면다섯 번 째가 됩니다만 갈 때 마다노사님 영전 뜨락에 서면더 아스라이 아늑하기만 합니다.  18359   설악의 상징 반달곰입니다.    지난 밤 나려 쌓인 백설이설악의 능선을 다독이고있는지 골 바람 불어 서러운 날,   설악의 산문인 신흥사의 일주문이다시 열리고,  중앙에는청용과 황용이트림을 하며설악을 지켜 섰는데,  일주 새이에판재와 부재를 두어안정감을 주고 있나 봅니다.  지난 '97년,청동 석가여래의 통일대불은완성 되었다 하는데, 북으..

한강의 발원지 검룡소

2013. 07. 28. 태백시 검룡소입니다.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73호 태백 검룡소(儉龍沼) 지난 7월 28일 휴가를 얻어강원도 한켠을 탐방하면서태백산 천제단을 넘어, 낙동강 발상지 황지를 지나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산1-1번지에 있는한강의 발원지 검룡소를 찾았습니다.  한강은 이곳에서 금대봉 산하에서 발원하여윗마을 정선 땅 고한리를 넘어영월, 단양, 충주, 여주, 양평, 김포를 지나서해바다로 514.4km의 삶의 흔적을 풀어 놓았습니다. 일억 오천만년 전 백악기에 형성된 석회암동굴 지하에서연중 9도를 유지하면서 용솟음 하는물결은 하루 2천여톤 가량 긴 이야기를 빚어냅니다. 검룡소를 떠난 물길은 '골지천'을 이루며 흐르다가정선 땅 임계에 닿기 전 광동호에서 잠시 머물다임계를 넘어서는아우라지의 정선에 놓아..

제천 의림지

2013. 07. 30. 휴가 3일 째 마지막 날, 2013. 7. 30일에는강원도 태백산, 검룡소, 영월 사자산 법흥사를 지나제천시에 있는 의림지를 찾았습니다. 의림지는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20호 제천 의림지와 제림 (堤川 義林池와 堤林)면적이 211,038㎡로서, 충북 제천시  모산동 241번지에 있습니다. 의림지는 김제의 벽골제, 밀양의 수산제와 함께 오랜 역사를 지닌 대표적인 수리시설로서 원삼국시대에 만들어졌으며 본래의 이름은 임지(林池)였습니다.  고려 성종 11년(992)에 군현의 명칭을 바꿀 때 제천을 의원현(義原縣) 또는 의천(義川)이라 불렀는데, 그 이유로 저수지의 이름에 ‘의(義)’자를 붙여 ‘의림지’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전설에 따르면, 신라 진흥왕 때의 음악가인 우륵이 만들었..

정선 아우라지

2013. 07. 29. 정선 아리랑의 발상지 아우라지입니다. 휴가 2일째, 7월 29일에는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여랑리 186번지경에 머물러 있는아우라지 나루터를 찾았습니다. 사진이 폰카라서 별로입니다만 ..... 강원도 태백 검룡소에서 발원하여 골지천 따라 이곳에 닿아서는평창 발왕산에서 흘러온 송천과 만나 어우러지면서‘아우라지’라는 명승을 빚어 물빛 시려 가슴 저미는 곳 강원도지정 무형문화재 제1호 정선아리랑 가운데, 애정편의 주 무대가 되는 이곳은구비 구비 그 자체가 아리랑입니다. 얼마나 많은 한이 겹겹이 쌓였으면1천5백수라는 아리랑의 편린들을 빚고,얼만큼 구비 구비져야만아리랑 아리랑이 될까요 정선아리랑 만큼 많은 애정이 담긴 노랫가사가 어디 또 있을까가사는 수심편. 애정편. 조혼편으로 구분 한답니다..

수미단

2009. 11. 22. 영천 은해사 암자 백흥암 극락전 수미단입니다. 지난 2008년 03월 09일 답사하였습니다.평소에는 보안 등의 문제로 내부를 공개하지 않고 있어답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그러나, 주지 영운스님의 각별하신 배려로 여러 부분을 담을 수가 있었습니다. 백흥암은 은해사의 보물창고입니다.참으로 많은 문화유산을 잘 간직하고 계셨습니다. 여기 소개하는 수미단도 그 가운데 하나입니다. 수미단은 법당 내부에 부처님을 모시기 위해 장엄한 좌대입니다. 수미단이라 하는 것은불교에서 가르키는 수미산을 나타내며부처님이 수미산 가장 높은 곳에 계시기 때문에수미단이라 부릅니다. 종목 : 수미단 보물  제486호명칭 : 수미단은해사백흥암극락전수미단(銀海寺百興庵極樂殿須彌壇) 분류 : 수미단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다랑이논

2009. 06. 06. 다랑이논. 다랭이논 이라 불리는전라남도와 경계를 이루는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홍현리 가천마을 지난 6월 5일 봉하마을을 지나,다음 날, 6일에는 다랭이논으로 삶을 이어 가는국가지정문화재 명승 15호 남해가천마을다랑이논을 답사하였습니다. 전체 가구 58호, 154명 주민들이이웃사촌으로 산비탈을 일구며다랑이논과 밭을 빚은 설운 삶의 여적 남해바다를 안고 살아 가면서도배 한 척 없는 다랭이마을 가천리,108층 겹겹이 묻어나는 다랑이 따라한 배미 또 한 배미 물결 넘기는 다락보다 계단이 더 높은 내 미쁜마을     바다가 있어도 배 한척 맬 수가 없고,  바람이 불어 와도 돛을 올릴 수가 없는  다랭이, 가천마을 .....   멀리서 바라보면  내 어머님 주름결 닮은  머흐러진 삶의 편린..

가천암수바위

2009.06. 06. 암수바위남해 가천 암수바위(南海 加川 암수바위) 미륵불암미륵 숫미륵 지난 6월 6일남도와 남도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경상남도 마지막 섬남해의 끝자락 남면 홍현리가천마을 다랑이논을 답사하면서 홍현리 849번지에 있는남해 가천 암수바위를 만났습니다. 종별 : 경상남도 지정 문화재 민속자료 제13호명칭 : 남해 가천 암수바위(南海加川암수바위)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민속 위치 : 경남 남해군  남면 홍현리 849 지정 : 1990. 01. 16. 이 암수바위는앵강만 해안선 초입에서 해발 472m 응봉산 자락으로 직선 거리 100여m다랑이논 가천마을중심에 있습니다. 가천마을에서는‘미륵불’로 불리우며‘암미륵’, ‘숫미륵’으로 표현을 합니다. 암미륵은 높이 3...

창덕리 남근석

2006. 9. 15. 민속학 강의 있는 날 나경수 교수님의 인솔에 따라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창덕리 팔왕마을에 있는 도지정 민속자료 15호창덕리 남근석을 찾았습니다. 오래 전태촌마을에 살던 한 가난한 자가 혼인하지 못함을 비관하여,또 하나는어느 청상과부가 만들어 세웠다는 전설의 남근석 풍수지리상 이 팔왕마을은 여인의 음부에 해당한다고 하여 딸을 많이 낳았다고 합니다.   11869

무당내력

2008. 8. 1. 무당내력입니다. 19세기 당시서울지역 무당이 하는 각종 거리에 대하여난곡(蘭谷)이라는 분이을유년 봄에 채색하여 놓은 도록입니다.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이 책은 큰책과 작은 책,두 종류가 있는데,모두 한사람의 작품으로서 이 자료는 큰책에 수록되어 있는 것입니다.전체적으로는 같은 듯 하나, 순서가 다르며또한 굿거리 도상에서젯상 차림과 무복그리고 무구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서지사항은규격 가로19.5cm, 세로 28cm채색도록, 14면입니다. 차례는1. 부정거리, 2.제석거리, 3.대거리, 4.호구거리, 5.별성거리, 6. 감응청배,7. 조상거리, 8.만신말령, 9.구릉거리, 10.성조거리, 11.창부거리, 12.축귀거리, 13.뒷젼거리입니다.   무댕내역 가운데 '큰책'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