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30

별 해설사

2016. 03. 15. 무병장수의 별, 카노푸스노인성이라고 부르는 우리나라에서는 서귀포에서만 보이는 조선조 의 저자 토정 이지함 선생은이  노인성 별을 보기 위하여거친 겨울바다를 건너 세번이나 제주를 찾아 왔었습니다. 이제무병장수의 별사람이 그 별을 보면 무병장수하고, 국가에는 국운이 융성한다는 그 별조선조에서는에 노인성제라 하여 1년에 봄가을에 두번 제사를 모셨다는 그 별을 찾아해설을 담당할 전문해설사를 모집하여 2016. 4월 6일 부터 10일 까지 5일 동안매일 오후 3시 부터 6시 까지 3시간씩서귀포시 송산동사무소 회의실에서강의를 합니다. 응모는 서귀포예총 전자우편 taek5015@hamnmail.net응모시에는 성명,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나이를 적어야 합니다. 수강료 무료교재 무료 강의..

무병장수의 별

2016. 01. 25. 무병장수의 별 노인성 제주신보 제주논단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80323   오피니언 무병장수의 별, 노인성 봅디강 윤봉택. 서귀포예총 회장 데스크승인 2016.01.25  제주신보 | webmaster@jejunews.com       조선조 선조시대 인물 ‘토정비결’의 저자 이지함은무병장수를 시켜준다는 남극노인성을 보기 위해제주도를 세 번이나 찾아왔다는 기록이 ‘연려실기술’에 게재되어 있다.‘토정비결’은 종교를 떠나 우리나라 국민들이 설날에 가장 많이 찾아보는 책이다. 노인성(老人星), 도대체 이 별이 무엇이길래 우리나라 사대부들이 한결같이 동지가 되면 이 별을 보려하였고, 조정에서는 설날, 도화서에 무..

노인성 별자리

2016. 01. 22.  노인성 주변 별자리  ■ 작은개자리     ○ α별 프로키온 북위 5˚. 0.4등급. 11광년. 7번째 밝은별■ 외뿔소자리      ○ α별 모노케로티스 –3˚. 3.83등급 ■ 오리온자리    ○ 베델기우스 α별 북위 7˚. 0.5등급. 520광년. 9번째 밝은 별     ○ 리겔 β별 남위 8˚. 0.12등급. 900광년. 6번째 밝은 별■ 큰개자리     ○ α별 시리우스 남위 16˚. –1.4등급. 8광년, 첫번째 밝은 별     ○ ε엡실론별 아드하라 남위 28˚. 1.5등급. 431광년■ 토끼자리     ○ α별 아르네브. –17˚. 2.58등급. 1283광년     ○ β별 니할. -20˚45ʹ. 2.8등급. 159광년■ 비둘기자리      ○ α별 팍트 –34˚...

카노푸스

2015. 10. 19. 지난 2015. 10. 19.새벽 05시 부터 06시 까지서귀포시 하원동 해발 550m에서 담은노인성 주변 별자리입니다. 무병장수의 별서귀포 노인성을 촬영하기 위해 담았습니다.겨울철 삼각 별자리(작은개 프로키온. 큰개 시리우스. 오리온좌 베델기우스)를 비롯하여 용골자리 카노푸스 사이에 있는 별자리입니다.  작은개자리 α알파별 프로키온 북위 5˚. 0.4등급. 11광년. 7번째 밝은별 외뿔소자리 α알파별 모노케로티스 –3˚. 3.83등급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습니다.)오리온    - 베델기우스 α알파별 북위 7˚. 0.5등급. 520광년. 9번째 밝은 별   - 리겔 β베타별 남위 8˚. 0.12등급. 900광년. 6번째 밝은 별큰개자리 α알파별 시리우스 남위 16˚. –1.4..

노인성 동영상-1

2015. 10. 19. 지난 2015. 10. 19. 새벽에 담은 무병장수의 별서귀포 노인성카노푸스, 『토정비결』의 저자토정 이지함 선생은 이 노인성 별을 보기 위해제주를 세번이나 찾아 왔습니다. 그 별 사진을 담아서 동영상으로 편집하여 보았습니다.유튜브로도 올렸구요  https://www.youtube.com/watch?v=sAXKLifNy6Q    ↑ 이 동영상은 2015. 10. 19. 새벽에 담은 것으로,    수평선 위로 밝게 빛나는 별이 노인성이며, 별을 당겨서 찍은 것입니다.     ↑ 위 동영상에다가 설명을 덧 붙였습니다.   ↑ 이 동영상은 2015. 12. 1. 새벽 1시 부터 4시까지, 30~50초 간격으로 담은 것으로, 날씨가 흐렸습니다.    넓게 담다 보니, 노인성 별이 좁쌀만..

별자리 해설사

2015. 12. 4.   제민일보(2015. 12. 4) (펌)제민일보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76961 장수의 별, 야간 관광콘텐츠로 뜬다서귀포시·예총·문화사업회 내년부터 노인성 축제 개최민간 별자리 해설사 양성호텔과 연계한 해설 진행 김영모 기자 입력 2015-12-03 (목) 15:24:38 | 승인 2015-12-03 (목) 19:02:47 | 최종수정 2015-12-03 (목) 21:24:27     ▲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 중인 수성노인도  대한민국의 별 중 서귀포 밤하늘에서만 보인다는 특별한 별자리 '노인성'이 부각되고 있다.그동안 노인성이 '아는 사람들만 아는 별'이었다면, 이제는 제주대표 관광자원으로 발돋음 하고 있기 때..

별 축제

2015. 11. 17. 문무병 선생과 그리고 제주 PEN클럽 문우들과 함께11. 5.~8일까지오끼나와 문학기행을 하였습니다. 오늘11. 17일자 한라일보에 관련 내용을 담은별축제 내용이 있어 소개합니다. 출처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read.php3?aid=1447686000520412099  [문화광장]제주의 별 축제를 꿈꾸는 사람들편집부 기자 hl@ihalla.com입력 : 2015. 11.17. 00:00:00최근 오키나와를 여행했다. 이전에도 오키나와에 갈 기회가 두세 번 있었으나 그때마다 불행하게도 이런저런 일들이 생겨 지금까지 한 번도 가보지 못해 안타까웠는데 지난 11월 5일, 제주 PEN클럽과 오키나와 시인협회가 함께하는 문학교류행사가 있어 19명의 일행과 함..

남극노인성 고분벽화

2015. 11. 12. 남극노인성 고분벽화 고구려시대(408년)의 고분덕흥리무덤 고구려벽화입니다. 동서남북에 사신도와 함께 64개의 별이 그려져 있고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고분 가운데유일하게 "남극노인성"이 그려져 있는서기 408년에 축조된 고구려시대의 고분입니다. 평안안도 남포시 강서구역 덕흥동 무학산 서쪽 옥녀봉 남단 구릉 위에 자리 잡은 흙무지돌방무덤이었습니다. 무덤의 방향은 남향이며널길, 앞방, 이음길, 널방으로 이뤄진 두방 무덤으로1903년에 처음 확인되었는데, 도굴(추측이지만 일본 왜넘덜)되면서앞방 천장이 크게 훼손되었습니다. 1976년 12월 8일 재발견되면서학술조사가 이뤄지고, 1991년 까지 복구작업이 이뤄졌습니다. 묘지명을 통해 알려진 무덤 주인공은 유주자사(幽州刺史)를 지낸 인물로서묘지..

노인성 축제

2015. 11. 12. 2016년에는무병장수의 섬 서귀포에서 서귀포, 노인성 힐링 페스티벌Seogwipo, Canopus Healing Festival西歸浦, 老人星 長壽 祝祭열립니다.시기별로 토요일마다 노인성 별자리를 바라보는행운의 시간을 갖습니다.    한라일보기사http://www.ihalla.com/read.php3?aid=1447254000519913048  '장수의 별' 노인성 콘텐츠 부활하나서귀포시·예총 내년부터 춘·추분에 노인성축제진선희 기자 sunny@ihalla.com입력 : 2015. 11.12. 00:00:00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수성노인도.영주12경 '서진노성' 살린 토요 별찾기도 추진 서귀포시가 서귀포예총(회장 윤봉택)과 손을 잡고 노인성(老人星) 축제를 여는 등 ..

남극 노인성 / 카노푸스

2015. 10. 14. 남극 노인성카노푸스Canopus 2015. 10. 14.새벽 5시 30분에서귀포 능선에 자리를 하고5시 45분 부터 카메라를 설치하고나서새벽 6시 06분 까지사진을 담기 시작하였습니다.  저가 찍은 별은 위도상으로 위치는 적경: 8 h 40 m, 적위: -62 도. 가장 남쪽에 있어옛부터 남극성이라 부르는동양에서는28수 가운데 남쪽 정(井)수에 있으며사람의 수명장수와 길흉화복을 담당하는 별로 알려진노인성(老人星), 일명 수성(壽星), 노성, 남극성, 남극노인성입니다. 서귀포는 우리나라를 지키는 가장 남쪽, 서귀진(西歸鎭)이 있는 곳정남진(正南鎭)으로서노인성은불로장생의 정방폭포 명승 43호범섬이 보이는 외돌개 명승 79호솔동산 터줏대감 서귀진 도지정문화재 기념물 55호에서특히 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