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대풀 2006. 7. 30 1100고지습지에서 만났습니다. 기장대풀입니다. 기장대풀(펌)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 Isachne globosa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 한국, 중국, 일본 등의 동남아시아 물가의 습지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는 30∼60cm이고 밑부분이 비스듬히 서서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 탐라섬의 풀꽃낭 2006.07.30
물골풀 2006. 7. 30 1100고지습지에서 만났습니다. 물골풀입니다. 습지에 가장 많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물골풀(펌) 외떡잎식물 백합목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 Juncus gracillimus 골풀과 한국·일본·사할린·중국 북부·우수리·아무르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40∼70cm이고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고 줄기는 곧게 서며.. 탐라섬의 풀꽃낭 2006.07.30
산톱풀 2006. 7. 30. 산톱풀입니다. 1100고지습지에서 만났습니다. 산톱풀(펌)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Achillea sibirica var. discoidea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 한국·일본·중국 산지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50~110cm이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여러 대가 한 곳에서 모여 나온다. 줄기.. 탐라섬의 풀꽃낭 2006.07.30
닭의장풀(???) 2006. 7. 25. 닭의장풀과에 속하는 식물인 것 같습니다만, 살펴봐야할 것 같습니다. 제주어로는 '곤역쿨'이라고 합니다. '쿨'은 '줄기'의 제주어입니다. 잘 죽지 않고 농민들을 골탕 먹이는 풀입니다. 그래서 곤역이라한 것 같습니다. 오늘은 범섬까지 다녀올려고 나갔는데 넘 더워서 움직이지를 못했습니.. 탐라섬의 풀꽃낭 2006.07.27
순비기나무 2006. 7. 27. 순비기나무입니다. 제주어로는 '순배기낭'이라고 합니다. '낭'은 나무의 제주어입니다. 해변가에 많이 자라납니다. 꽃은 따서 적당히 건조시켜 차를 만들어 마시면 참 좋습니다. 우리가 어렸을 때 낚싯대가 없을 때 바닷가에 가서 구멍낚시할 때에는 이 순비기낭 순을 꺾어서 사용했습니다. .. 탐라섬의 풀꽃낭 2006.07.27
참깨 2006. 7. 27. 참깨입니다. 아마 늦게 파종한 것 같습니다. 모든 농사가 마찬가지입니다만, 참깨농사는 참 힘이 듭니다. 단기간에 수확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금만 소홀해도 폐농되기 쉽상입니다. 저도 농사를 지어 보았습니다. 참깨 보리 벼 콩 마늘 고구마 감귤 파인애플 하루만 늦어도 농사는 아니됩니다.. 탐라섬의 풀꽃낭 2006.07.27
나도생강 2006. 7. 25. 나도생강입니다. 천지연 주변에 많습니다. 사진에 담을 때, 중국 관광객들이 무얼 담고 있나 호기심으로 처다보고 갔습니다. 태풍 지나고 나서 그런지 계곡에 물도 조금 불어나고 폭포의 흐름도 많아진 것 같습니다. 담고 돌아서는 길에 하얀비가 나렸습니다. 우산 없이 돌아서면서 그냥 그.. 탐라섬의 풀꽃낭 2006.07.25
누리장나무 2006. 7. 25. 누리장나무입니다. 제주어로는 '개낭'이라고 합니다. 천지연에서 보았습니다. 냄새가 아주 특이합니다. 돌담이나 밭 등 가장자리에 많이 자랍니다. 귀찮을 만큼 많이 자라납니다. 어렸을 때, 우리 어머님이 피부에 오돌토돌하게 뭔가 나면 잠잘 때 붙여 주시던 기억이 납니다. 하여, 저는 냄.. 탐라섬의 풀꽃낭 2006.07.25
털별꽃아재비 2006. 7. 25. 털별꽃아재비 저는 물머위로 알았는데 수산나님 / 모산재-봄맞이님께서 바르게 알려 주셨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이 꽃은 천지연에서 보았습니다. 바람이 일고 다시 바람이 불어 오고 다시 또 바람이 불어 가고 있습니다. 그 사이로 이름없는풀꽃들이 피고 지고 있습니다. 10431 탐라섬의 풀꽃낭 2006.07.25